부제목 :
농림부 소비 늘리고 공급 억제하는 방안 강구
육우 송아지 한마리가 단돈 1만원에도 팔리지 않고 있다. 소가 너무 많아서 생기는 일이다.
(뉴스파인더)정부는 소값을 정상화하기 위해 소비를 장려하는 한편, 확보된 예산을 사육두수 수급조절 지원금으로 적절히 활용할 계획이다. 군부대 돼지고기 및 수입산 쇠고기를 모두 한우로 대체하는 방안도 고심 중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4일 폭락하는 소값안정을 위한 대책을 내놨다. 시장원리에 따라 가격이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원칙을 지키되 예산을 활용해 수급조절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소 값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농림부는 2010년 말까지 소값이 500~600만원선으로 비교적 높은 가격이 유지돼 왔기 때문에 이후 송아지 과다입식에 따른 개체수 증가를 이유로 꼽았다.
사육두수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정부는 지난해 많은 양의 소를 도축해 폭락은 막았지만 하락세는 계속됐다.
정부는 이런 과정에서 한우불고기 반값 할인판매나 명절 선물세트를 만들어 판매를 장려했다.
현재 육우 송아지 한마리가 1만원대, 암송아지는 60~70만원대, 수송아지는 평균 80만원대 정도다.
쇠고기 소비 및 수요확대를 적극적으로 장려할 예정이지만 공급면에서도 사육두수 감축을 위해 한우 도태 및 송아지 생산억제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설 대비 한우고기 선물세트를 만들어 올 설 선물세트로 한우를 살 수 있도록 홍보하고, 판매량도 추석 3만 2,000세트보다 많은 5만 세트를 목표로 공급할 예정이다. 설 이후에도 한우 고기 대폭할인행사는 계속된다. 여기에 소요되는 예산은 208억원 정도가 확보됐다.
특히 군납돼지고기 및 수입쇠고기를 한우로 대체하는 부분도 관계부처와 협의 중에 있다.
공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송아지 생산 안정제를 개선키로 했다.
지금까지는 송아지를 한 마리 낳으면 무조건 165만원에서 가격이 떨어지는 대로 최대 30만원까지 보존을 해줬다. 하지만 이는 공급 과잉을 낳을 수 있어 전면 개선키로 했다.
따라서 이력추적제를 통해 가임암소의 수를 파악해 지원금을 조절키로 했다.
새끼를 낳을 수 있는 가임암소의 수가 부족해 위험한 상황인 90만마리 이하일 때 새끼를 낳으면 40만원, ‘적정’한 숫자인 90~100만 마리일 때는 30만원, 110만 마리까지는 10만원을 지원해주고 110만 마리 이상일 경우에는 송아지 생산 안정제 자금을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 가임암소의 수는 140만 마리 수준으로 파악되며, 정부는 암소 공급이 과잉 때는 도축을 유도하는 도태 장려금을, 적어질 때는 송아지 생산 안정제 자금을 지원하며 그 숫자를 조절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가임암소의 도축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한다.
미경산우, 즉 처녀소가 일본의 경우 최고의 브랜드로서 최고가를 받고 있다는 점에 착안, 우리도 브랜드화를 통해 소비를 늘릴 방법을 강구 중이다.
암소 도태 장려에 참여하는 농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인센티브도 함께 부여할 계획으로 노산우라고 판정받는 시기를 빠르게 해 이들의 도축을 유도할 예정이다.
한편 확정된 예산안에 따라 정책방향이 수정될 수 있어 1월 말경 협의를 거쳐 보다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