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지난해 가계소득은 늘었지만 소득분배 지표들은 다소 혼조된 모습을 보였다.
기획재정부는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1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을 분석한 자료에서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384만2000원으로 전년대비 5.8% 증가했다고 밝혔다.
명목소득 증가율은 2010년에 이어 2년 연속 5%를 초과했으며, 실질소득 증가율도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처분가능소득과 흑자액도 전년보다 각각 5.5% 및 8.3% 증가한 311만9000원과 72만7000원을 기록하며 2003년 통계 작성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고용회복이 이어지며 근로소득(6.3%)이 사업소득(4.5%)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였고, 1-3분위 중ㆍ저소득층의 소득을 중심으로 모든 계층의 소득이 증가했다.
월평균 가계지출은 전년대비 5.2% 증가한 311만5000원을 기록했다.
항목별로 보면 휘발유 가격상승으로 교통지출이 8.7% 증가했지만, 교육은 0.7% 감소했다. 비소비지출은 고용호조에 따른 경상조세(8.2%), 연금(8.0%), 사회보험비(11.9%) 등이 늘면서 전년대비 7.2%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증가했지만 소득분배 지표들은 가계 표본에 따라 혼조세를 보였다.
1인가구와 농가를 제외한 전국가구 표본에서는 지난해보다 소폭 개선되거나 보합세를 나타냈으나, 1인가구와 농가를 포함한 표본에서는 2010년도에 개선됐다가 다시 상승했으나 2009년보다는 낮았다.
중산층 비중도 1인가구와 농가를 제외할 경우에는 증가했으나, 전체가구를 대상으로 할 때는 소폭 감소했다.
재정부는 글로벌 위기 이후 전반적인 경기회복이 고용 및 가계소득 증가로 이어졌다며 "특히 저소득층의 소득증가는 경기회복 효과가 광범위하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소득분배가 표본에 따라 혼조된 모습을 보임에 따라 향후 추이를 지켜보면서 소득분배 구조를 면밀하게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서민가계의 소득여건과 분배상황이 개선될 수 있도록 정책적 펼치겠다며 특히 독거노인 등 빈곤층 1인가구와 영세 농가 등의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