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컨’ 물동량 209만7000 TEU 처리
해양수산부는 4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1515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1239만톤) 대비 2.5%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증가세를 주도한 주요항만은 부산항, 포항항, 평택·당진항, 울산항 등이며 수출입 및 환적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 13.4%, 5.2%, 3.1%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대산항, 동해·묵호항 등은 유연탄, 석유정제품, 시멘트 등의 수출입물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2.9%, 3.7% 감소했다.
비컨테이너 물동량은 전체 7940만톤으로 전년 동월(7901만톤) 대비 0.5% 증가했다.
항만별 처리 물동량 순위는 광양항, 울산항, 평택ㆍ당진항, 인천항 포항항, 대산항, 동해·묵호항이며, 주요항만 중 광양항, 울산항, 평택당진항, 포항항은 증가세를, 이외 항만은 대체로 감소세를 보였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철재, 기계류, 자동차, 모래, 시멘트, 목재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 11.8%, 5.1%, 16.2%, 25.9%, 4.9%, 48.8% 증가 한 반면, 광석, 유연탄, 화공품 등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3.1%, 1%, 3.6% 감소했다.
또한, 전국 항만의 4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달(202만5000TEU)에 비해 3.6% 증가한 209만7000TEU를 기록했다.
중국, 미국, 유럽 등 주요 교역국의 수출입 물동량은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우리 나라 주요 선사인 한진해운, 현대상선의 환적 물동량 감소의 영향으로 물동량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은 전년도 같은 달보다 2.0% 증가한 전체 158만5000TEU를 처리했고,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도 같은 달보다 1.0% 증가한 79만4000TEU를, 환적화물은 79만1000TEU(3.0%↑)를 기록했다.
광양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4.0% 증가한 전체 20만1000TEU를 처리했으며, 환적화물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3.0% 증가한 4만1000TEU를 기록했다.
인천항은 대 중국 및 동남아 국가와의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11.2% 감소한 전체 19만8000TEU를 처리했다.
한편, 올해 3월까지 세계 10대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대비(4690만TEU) 4.7% 증가한 4911만TEU를 기록했다.
상하이항은 지난해(781만TEU) 보다 5.3% 증가(822만TEU)해 세계 1위를 유지했고, 싱가폴항(3.9%, 793만TEU)과 홍콩항(2.5%, 540만TEU), 선전항(1.5%, 523만TEU)은 각각 2위, 3위, 4위를 기록했다.
부산항은 지난해 보다 4.2% 증가한 443만TEU를 기록, 배후부지 산업 기반으로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는 닝보-저우산(450만TEU 9.3%)에 이어 6위를 차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