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농산물·석유류 가격 안정…“특이요인 없는 한 안정세 지속”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안정세 등에 힘입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둔화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분석한 자료에서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전달보다 0.2% 올랐다”고 밝혔다.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1.1%, 2월 1.0%, 3월 1.3%, 4월 1.5%, 5월 1.7%, 6월 1.7% 등으로 오름세를 보이다 7월 1.6%, 8월 1.4%로 2개월째 둔화하는 추세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반면, 신선식품물가는 신선채소 가격이 내리며 전년동월대비 11.8% 급감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작년 8월과 비교해 각각 2.4% 및 2.1%씩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전달보다 농산물(3.9%) 가격은 상승했으나, 축산물(-1.5%)과 수산물(-0.1%) 가격은 하락했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시금치(73.6%)·양상추(62.2%)·상추(50.4%)·오이(43.5%)·호박(42.5%)·배추(32.9%) 등은 전달보다 가격이 오르고, 복숭아(-22.4%)·포도(-5.4%)·돼지고기(-5.2%)·고구마(-4.2%)·고등어(-4.6%)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가공식품 가격이 올랐음에도 석유류 가격이 내리며 전체적으로는 전달보다 0.1% 하락했다.
전기·수도·가스는 도시가스 요금이 오르며 전달보다 0.1%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의료서비스 가격 하락 등으로 전달보다 0.2% 하락했다.
집세는 전달보다는 0.1%,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2.2% 올라 7월과 비슷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개인서비스 중 외식비는 전달보다 0.1%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고,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하계 휴가철을 맞아 여행 관련 요금 등이 오르며 0.5% 상승했다.
기재부는 “향후 물가는 기상악화에 따른 농산물 가격 급등 등 특이요인이 없는 한 안정세를 지속할 전망”이라며 “추석 성수품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불안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구조개선 노력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