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유가하락 영향 등으로 수입 11.0% 감소
국제유가 하락으로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대폭 감소해 지난달 무역수지가 55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이 감소하고, 대 러시아와 대 EU 수출이 감소했지만 수입이 더 크게 감소해 무역수지는 55억27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2012년 2월 이후 36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했다. 지난해 1월에는 8억900만 달러 흑자를 냈다. 지난달 수출액은 1년 전보다 0.4% 감소한 454억 달러였고, 1월 수입액은 11.0% 줄어든 398억4300만 달러로 조사됐다. 유가하락에 따른 석유제품·석유화학 수출 감소와 러시아 경제 위기 여파로 수출이 줄어든 것이 전체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제품은 수출물량이 작년보다 각각 13.2%와 4.2% 늘었음에도 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으로 수출액은 각각 38.5%(18억 달러)와 19.8%(8억 달러) 줄었다. 다만 수출물량은 전년대비 증가했다. 선박은 고부가가치선 수출이 늘면서 62.5% 증가했으며, 컴퓨터(15.2%), 반도체(13.7%), 일반기계(6.9%) 등도 호조를 보였다.
다만 휴대전화를 비롯한 무선통신기기는 미국 애플, 중국 경쟁사들과의 경쟁 심화로 수출액이 1.9% 줄었으며, 철강(-2.4%), 자동차(-4.1%)도 감소했다.
지역적으로는 1월 지역별 수출은 미국·중국 지역 등은 증가했으나 일본과 유럽연합(EU) 등의 수출은 감소했다.
EU 수출액은 23.0% 감소했다. 반면 미국 수출액은 15.2% 늘었으며 중국도 5.3% 증가했다. 유가하락으로 인한 세계교역 증가 효과가 나타나기 전까지 유가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품목의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산업부는 전망했다.
산업부는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 상황 및 수출동향을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해 필요시 수출선 다변화, 경기호조 지역으로의 수출마케팅 강화 등을 포함하는 수출촉진 대책을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