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16일부터 3월 20일에 2015년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신청을 받는다.
특히 특화단지의 고도화·첨단화를 촉진하기 위해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사업”의 정부 지원 비율을 기존 10%에서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강화되는 환경기준 및 전력 등 에너지비용의 상승에 따른 뿌리기업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뿌리기업들의 집적화를 통한 고도화·첨단화를 유도하기 위해, ‘13년부터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지원 사업’을 시행해 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3년부터 지금까지 총 12곳의 단지를 뿌리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했으며, 이중 6곳의 단지에 뿌리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 시설 구축을 지원했다. 공동활용시설(예): 폐수처리시스템(도금), 폐주물사 재활용시스템(주조), 폐열 회수 시스템(주조·열처리),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공통), 무정전 전원시스템(공통)이다.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사업을 통해서, 특화단지 내 입주 뿌리기업들의 생산성 향상, 환경오염 저감, 작업환경 개선 등 다양한 성과가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특화단지 지정을 신청 받아, 올해 총 10개 내외의 뿌리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하기로 했다.
그리고 특화단지로 지정된 단지(기존에 특화단지로 지정된 단지 포함)는 공동활용시설 구축을 위한 지원 사업에 참여가 가능하다.
산업통상자원부 최태현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아직도 뿌리산업이 타산업에 비해 산업단지 입주 비율이 25%로 저조하여 개별 입지에 따른 엄격해지는 환경규제 대응, 에너지가격 상승 등의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사업’을 통해, 뿌리기업들이 집적화를 통해 강화되는 환경기준 및 에너지비용 상승에 적극 대응하고 나아가 첨단화·고도화를 적극 추진하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