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미디어오늘, ‘임순혜 옹호’하려고 온갖 억지 논리까지 총동원
‘대통령 저주’ 리트윗과 억지 해명으로 해촉 후에도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임순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 자문기구 보도교양특별위원회 위원을 옹호하기 위해 좌파진영 매체들이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를 물고 늘어지는 이른바 ‘물귀신’ 작전에 돌입했다.
폴리뷰 보도에 따르면 임 위원의 해촉을 건수 잡아 종편의 대표적 인기 프로그램 중 하나인 ‘돌아온 저격수다’를 ‘저격’하고 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여당 우위 구조까지 트집을 잡아 명분을 잡으려는 계산으로 분석된다.
미디어오늘은 24일 ‘종편 성적욕설엔 ‘관대’, 대통령 리트윗엔 초법적 ‘해촉’’이란 제목의 기사를 걸고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를 맹공했다.
방심위가 보수 성향의 종편 프로그램의 막말에 대해선 관대하면서 야권 성향의 막말 논란에 대해선 엄격한 이중잣대를 휘두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디어오늘은 “이번 해촉 결정이 비상식적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는 첫째, ‘막말’에 대한 심의위원들의 ‘이중잣대’”라며 “하지만 이 위원들이 공정기능을 수행하는 방송에서 나온 부적절한 발언이나 막말에 대해서는 관대한 입장을 보였다”고 썼다.

미디어오늘 해당 기사 캡처 이미지
‘바뀐애 즉사’도 옹호한 미디어오늘이 ‘돌아온 저격수다’가 성희롱 수준의 욕설했다? ‘황당’
그렇게 비교한 것이 바로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 방송의 막말이었다. 미디어오늘은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는 지난해 11월 26일 민주당 의원의 불륜 의혹 문자메세지에 대해 “엄창(‘엄마 창녀’라는 말의 줄임말) 걸고 다시는 안하겠다 하고는 또 반복되는 거 싫다”(진성호 전 한나라당 의원)라는 성희롱 수준의 심한 욕설을 여과 없이 내보냈다”며 “장원재 사회자가 이 단어의 의미를 묻자 진 전 의원은 그 의미를 설명하면서 수차례 이 단어를 언급하기도 했다”고 비판했다.
미디어오늘은 그러나 여당 추천 위원들의 반응이 너그러웠다면서, 여당 추천 위원인 엄 위원이 “‘엄창’ 표현 나올 때 실망했다. 그건 아무리 사회에서 그런 말이 나와도 방송에서 할 필요가 없는데 해서 품위에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했으면서도 행정지도인 ‘권고’ 의견을 냈고, 심지어 박성희 위원은 “이 프로그램의 성격이 풍자라면 그 차원에서 이해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면서 임 위원에 대한 해촉 논리와 종편 심의 잣대가 다르다는 취지로 비난했다.
미디어오늘은 또 임 위원 해촉 과정이 적절하지 않았다면서 규정, 절차에도 없는 해촉이 이루어졌다는 점, 출석 소명 기회를 주지 않았다는 점 등 임 위원 해촉이 방통심의위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는 문제도 제기했다. 이 매체 주장에 따르면 이번 해촉은 ‘방송통신위원회 설치에 관한 법률’ 제20조 “심의위원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외부의 부당한 지시나 간섭을 받지 아니한다”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이 자질 미달의 공적 인물에 대한 언론과 국민의 정당한 비판과 문제제기를 본질을 어긋난 절차 문제의 논리로 교묘하게 호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임순혜 해촉의 본질은 ‘네가 남을 심판할 자격이 있느냐’는 것, 일반 막말 논란과 비교 불가”
익명의 한 언론계 종사자는 “방송사 보도교양 프로그램을 심의하는 위치에 있는 공적 인물의 부적절한 저주 발언에 대한 비판 및 그로 인해 불거진 자격시비 논리와 한 프로그램에서 나온 진행자의 막말을 심의하는 기준이 똑같은가? 전혀 그렇지 않다”며 “애초에 비교 대상이 아닌 것을 가지고 비교를 하며 억지를 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미디어오늘이 비교한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 진행자의 발언이 적절하다고 보기 어려워도 그렇다고 해서 진행자를 갈아치워야 할 정도로 심각하다고 보기도 어렵다. 적정한 수준에서 경고하면 되는 것”이라며 “또 만일 미디어오늘의 그런 논리로 본다면 지상파와 기타 수 많은 프로그램의 막말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다 진행자를 갈고 출연자들을 바꿔야 한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면서 “그러나 이런 프로그램을 심의하는 위치에 있는 중요한 공적 인물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맞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쉽게 말해 ‘니가 막말을 심의할 주제가 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임순혜 위원의 부적절한 리트윗이나 문제가 불거진 그 후의 대처 모습이 과연 그런 공인으로서 적절했나? 압도적인 여론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면서 “그런데도 이런 본질을 물타기하려고 법규정에 해촉 내용이 없다는 둥, 이중잣대라는 둥 말도 안 되는 억지를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임순혜 위원같은 사람을 옹호하려고 법논리를 들이대는 데 혹시 맞는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다”면서도 “그러나 그렇게 억지를 쓰는 게 과연 지금의 국민정서에 도움이 될까? 미디어오늘 스스로 자충수를 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