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복지종합센터 10월까지 10곳 개소…2017년까지 70곳으로
올해 안에 예비 일학습병행기업 3000개가 지정된다. 또 10월까지 10개의 고용·복지종합센터가 문을 연다.
고용노동부는 20일 방하남 고용부 장관 주재로 ‘제39차 고용정책심의회’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일학습병행제’와 ‘고용복지 종합센터’ 확산 계획 등을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2017년까지 7만명의 학생근로자가 교육훈련을 받게 될 ‘1만개 일학습병행기업’ 발굴 전략이 담긴 ‘예비 일학습 병행제 기업’ 운영계획(안)이 논의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이미 우수한 현장훈련 교육·훈련시설과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바로 일학습병행기업으로 지정·지원한다.
또 현장 프로그램이 우수하고, CEO 의지와 기업의 기술력이 높음에도 아직 충분한 준비가 갖춰지지 않은 기업 중 3000개 기업을 올해 ‘예비 일학습병행 기업’으로 지정해 6개월간 청년 인턴제와 일학습병행제 컨설팅 등을 제공, 우수한 일학습병행기업으로 키워나간다는 전략이다.
이어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고용복지 종합센터는 올해 10월까지 10개소를 설치하고, 매년 20개씩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 1월 첫 개소한 남양주 고용복지센터를 시작으로 동두천, 칠곡 등 10개소를 개소해 국민의 통합적 고용-복지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근로빈곤층의 취업장애요인을 해소하고, 일을 통해 자립할 수 있는 실질적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는 이밖에 고용친화적 정책수립의 전제로서 의미와 중요성이 대폭 강화된 ‘고용영향평가 2013년 성과 및 2014년 운영계획’과 지난 4월 발표된 ‘고용률 70% 로드맵 롤링플랜’의 주요 내용도 함께 다뤄졌다.
방하남 장관은 “4월까지는 주요 고용지표가 좋았지만 환률 하락, 세월호 사고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하반기에는 고용시장이 둔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국민 모두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의지가 약화되지 않도록 관계부처 및 노사 모두가 힘을 모아 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이어 “앞으로 ‘일학습병행제’, ‘고용-복지 인프라’ 강화 등 고용률 70% 로드맵의 핵심 과제들이 국민들이 체감하는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현장을 중심으로 챙겨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