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3일 내년 년 예산 및 기금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정부안 4조 6,004억 원보다 1,046억 원 증액된 4조 7,050억 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지난해 (43,796억 원) 대비 3,254억 원(7.4%) 증가된 수준으로 ’96년 해양수산부가 설립된 이래 최대 수준이다.
해운대, 여수 만흥지구 등의 연안침식 예방을 위한 연안정비사업(50억 원 증액), 포항구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5억 원 증액) 등이 증액되는 등 해양환경 부문에서 62억 원이 증액했다.
또한 불법 어업(IUU)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서아프리카 원양어선 구조조정 사업(99억 원)과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31억 원), 서해5도 수산물 복합문화센터(50억 원) 등이 신규로 반영했다.
수산자원조성사업(41억 원 증액), 어항인프라 확충을 위한 국가어항사업(54억 원 증액)이 증액되는 등 수산어촌 부문은 343억 원이 증액됐다.
그간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던 평택당진항 국제여객부두를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설계비 20억 원이 반영됐다.
부산항 신항 준설토 투기장(30억 원)과 울산신항 남방파제(2-2)(60억 원) 건립 예산이 신규로 반영되고 새만금신항(200억 원 증액)과 일반항(66억 원 증액) 건설 예산이 증액되는 등 해운항만 부문은 532억 원이 증액됐다
그 외에 여수 엑스포 사후관리를 위한 동북아해양관광레저특구(27억 원 증액), 수중건설로봇 개발 등 해양장비개발(21억 원 증액) 등의 예산이 반영되어 물류 등 기타 부문은 326억 원 증액됐다.
반면, 장보고 유적 답사 사업과 원양어업관리회사 사업이 일부 조정되고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업무 이관에 따른 예산 이체 등으로 217억 원이 감액되어 최종 1,046억 원이 순증액했다.
해양수산부는 확정된 ’2015년 예산이 차질 없이 집행될 수 있도록 사전에 집행계획을 마련하고 향후 지속적인 집행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다.
2015년 예산이 해양수산 분야의 경제활성화를 견인하는 실효성 있는 투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