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국토부,싱크홀 사고 예방 위한 터파기·지반굴착기술 등 신규 착수
급증하는 시설물 재난·재해·안전사고와 국내 건설 ENG 경기 침체 등 최근 건설 분야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에 538억7400만원의 건설 R&D 예산(건설기술연구사업)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는 내년도 건설 R&D 예산을 올해 481억7500만원보다 11.8%늘려 ‘시설물 유지관리 및 건설안전 기술’ 분야 등 총 24개 연구과제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최근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 시설물 붕괴사고 등 각종 재해·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의 경쟁력 강화와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도심지 개발로 인한 싱크홀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심지 특성을 고려한 터파기·지반굴착기술, 지하수위 계측·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신규로 착수된다.
국토부는 도심지 토사재해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도시 기능을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도심지 토사재해 예측·평가 및 통합관리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태풍, 호우 등으로 인한 수변지역 시설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안전도, 피해현황, 피해복구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안전관리기술 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노동·자본 집약적인 시공 위주의 건설 산업 구조를 탈피하고 고부가가치 설계엔지니어링 산업으로 육성해 국내 기업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기획, 파이낸싱, 사업관리, 커뮤니케이션 등 종합적인 역량을 갖춘 엔지니어링 전문 인력을 본격 양성할 계획이다.
또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계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해외 거점별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해외 발주동향, 현지 기준·법령 및 리스크 정보 등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친환경 재료분야 원천기술(탄소저감형 콘크리트 등), 공사비 절감을 위한 시공자동화 기술, 해외시장 선점을 위한 특수구조물 구축(초장대 해저터널, 복층터널 등) 기술 연구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침체된 국내 건설 산업을 활성화하고 해외시장 진출 및 안심 국토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