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4월부터…국민생활 밀접 300여개 업종 5TB 분량
다음달부터 세탁소, 펜션, 의료시설, 관광업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300여개 업종 11억건의 지방행정 데이터가 민간에 개방된다. 행정자치부는 지방자치단체의 공통 행정업무 처리시스템인 시도·새올 시스템에 대량 축적된 각종 인·허가 자료를 다음달부터 전면 개방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방되는 지방행정데이터는 소상공인, 식품·물류·의료 등 530종 DB(데이터베이스)의 5TB(테라바이트)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다. 매일 업종·지역별로 변동되는 전국의 인허가 관련 데이터가 대대적으로 개방된다.
지난 50여년 동안 각종 인·허가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가 통합·개방되면 향후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중소상공인, IT서비스 산업 관련 협회나 대학, 연구기관에서 직접 조사를 하지 않아도 개방된 지방행정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종합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행자부는 데이터 개방에 앞서 10일 오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민간포털, IT업체, 중소기업, 각종 민간협회, 대학·연구기관을 초청해 ‘지방행정 데이터 개방 사전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날 설명회에는 지방행정 데이터 개방일정 및 활용방법 소개, 지방행정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활용모델·사례 안내, 지방행정 데이터 활성화 연구 및 의견수렴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정재근 행자부 차관은 “지방행정 데이터의 개방을 통해 기업이나 일반국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방행정데이터 개방에 정부차원의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