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내외 지진피해 경험자 심리지원 실시
한국디지털뉴스 유태균 기자 = 보건복지부는 일본 구마모토현 지진피해 경험 등 최근 국·내외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에게 국립정신건강센터 내 ‘심리위기지원단’을 중심으로 상담 등 심리지원을 실시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지진을 직접 경험하거나 TV 등 방송으로 접한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국립정신건강센터 내 ‘심리위기지원단’ 및 거주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상담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해 지속적으로 몸과 마음이 피곤하다 이유 없이 가슴이 두근거리고 식은땀이 난다 멍하게 있거나 의욕이 없어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지진 당시의 장면이 지속적으로 떠오르거나, 부정적인 생각이나 상상으로 마음이 괴롭다 그 밖에 불안하거나 우울한 마음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힘들다는 생각이 든다. 국립정신건강센터 ‘심리위기지원단’은 지난 16일부터 인천공항 입국장 내 심리상담 부스를 설치해 일본 지진발생 지역에서 귀국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대면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장기간 심리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권역별 국립병원 및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해 지속적인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집으로 돌아온 지진피해 경험자 및 국민들의 심리적 불안은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의 24시간 핫라인(1577-0199) 실시간 전화상담 및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내소 상담을 통해 도움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핫라인 전화상담 중 정신과적 응급상황 발생시 경찰, 소방과 협력해 직접 현장 방문을 통한 개입으로 극단적인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들을 최대한 예방할 계획이다. 심민영 국립정신건강센터 심리위기지원단장은 “지진발생 후 우울, 불안, 불면 등의 어려움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것이며 대개는 특수한 상황에 대한 정상적 반응이지만 이런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국립정신건강센터 심리위기지원단 및 정신건강증진센터는 세월호 사고, 메르스 발생시 심리평가·상담 등을 통해 심리안정 서비스를 제공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