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국가항만 지진계측시스템 연계 지진재난 대비강화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 = 최근 일본 구마모토, 에콰도르, 바누아투 등 태평양 일대의 ‘불의 고리’에서 규모가 큰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고 전북 익산 등 국내에서도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비, 해양수산부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구축된 국내항만 지진계측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진에 대한 선제적 대비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11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지난 2008년 1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연구개발 과제로 구축해 운영해오던 ‘국내항만 지진계측시스템’을 이번 달에 해수부로 이관해 국가적 차원의 지진방재 대책에 활용하기로 했다. 국내항만 지진계측시스템은 국가무역항을 중심으로 부산항, 인천항 등 8개항 18곳에 설치돼 있다. 해수부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지진 발생 시 적기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항만이용자는 물론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약 99%를 처리하고 있는 항만시설의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지진 등 자연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진계측시스템과 연계한 ‘항만 지진비상대처계획(EAP)’의 수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 유럽 등은 지진, 해일, 태풍 등 자연재난 및 댐·저수지 붕괴 등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항만 등 주요시설에 대한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진 등으로 국가 기간시설인 항만이 파괴될 경우 국가 수출입 마비는 물론 시설 복구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항만 지진 모니터링을 통한 지진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며 “현재 항만시설의 약 80%는 내진성능이 확보된 상태로 나머지 20%는 2025년까지 내진성능 보강 추진 예정이며 향후 더욱 안전한 항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다각적인 재난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