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주변국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에 따른 선제적 대응
국경검역 대폭 강화, 해외 여행객 축산물 반입 차단 등 정부는 4일 오후 세종청사에서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관리 점검회의를 개최하여 그 동안의 예방관리 조치 등을 점검하고, 추가적인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회의는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발생하던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이 지난해 8월 중국에 이어 올해 1월에는 몽골, 2월에는 베트남, 4월에는 캄보디아까지 급속히 확산 되고 있다
중국 여행객이 휴대한 돼지고기 가공품에서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인적·물적 교류가 많아 언제라도 국내로 유입될 위험성이 증가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오늘 회의서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의 특성*을 감안하여 국경검역과 국내방역 체계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국경검역) ASF 발병국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축산물이 반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검역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발병국 여객기에 대한 휴대품 일제검사 강화, 검역탐지견 투입 확대, 개인 휴대품 검색 전용 X-ray 모니터 설치(4월, 제주공항)를 추진하기로 했다.
수입금지 국가산 축산물의 인터넷상 불법 유통·판매를 지속 단속하고, 관련 사이트 차단을 지속하는 한편, 공·항만에서 불법축산물 적발시 과태료도 상향(6월말)하기로 했다.
중국산 돼지혈액 분말사료 수입금지 및 베트남산 사료와 사료원료에 대한 ASF 정밀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안전한 경우에만 통관조치하기로 했다.
(남은 음식물 관리) 남은 음식물의 돼지급여가 ASF 전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만큼, 남은 음식물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돼지농가로 유입되는 남은 음식물 제공처를 전수조사하여 폐기물이 제대로 열처리되는지 점검하고, 음식물폐기물 운반 차량에 대한 GPS 부착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남은음식물을 직접 돼지에게 급여하는 농가는 향후 사료화시설에서 처리된 것만 공급받도록 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추진중인 전방 군부대의 남은 음식물 방치, 투기를 통한 야생 멧돼지 급여 금지 등도 철저히 이행하기로 했다.
(야생멧돼지 관리) ASF의 국경간 전파를 막기위해 야생멧돼지의 관리를 철저히 하기로 했다.
DMZ내 멧돼지 예찰을 통해 남북간 이동 가능성을 차단하고, 접경지역(강원·경기 북부)과 발병국 여행객이 많은 제주도에 서식하는 멧돼지에 대한 포획·검사를 대폭 확대(’18년 1,552건 -’19년 2,800건, 80%↑)하기로 했다.
또한, 멧돼지 개체수 적정 수준 유지를 위해 포획틀 지원 확대 등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개체수 관리를 강화하고, 돼지농가와 야생멧돼지의 접촉 차단을 위한 울타리 등 설치사업을 확대 지원한다.
양돈농장 주변의 멧돼지 예찰도 강화하기로 했다.
(홍보 강화) ASF 발생지역 여행을 자제하고, 축산농가 방문과 축산물 반입을 하지 않도록 국민들께 ASF의 위험성과 검역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로 했다.
(합동 가상훈련) ASF 발생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긴급행동지침(SOP)을 활용한 가상훈련을 조기에 실시 오는(11일)하여 관계기관과 지자체의 신속대응 역량을 종합 점검하기로 했다.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회의에서 “ASF 바이러스는 생존력이 강하고, 감염시 치사율이 최대 100%에 이르는 특성을 갖고 있기에, 1차적으로 해외여행객 출입국과 축산물 수입 과정에서 국경검역이 무엇보다고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남은 음식물 및 야생멧돼지 관리를 위해 관계부처가 유기적 협업을 통해 국내 유입시 즉각 조치할 수 있는 신속한 초동방역 태세를 갖춰줄 것”을 지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