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화물차 운행·물동량 파악… 교통·물류 투자계획 기초자료 활용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은 21일 정책브리핑에서 전국 화물자동차의 통행 및 화물물동량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전국화물통행실태조사를 9월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전국화물통행실태조사는 국가 물류정책의 효과적 수립과 시행, 사후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98년부터 약 5년 주기로 시행되어 온 국가교통조사의 한 종류이다. 이번 조사는 사업체 및 창고업 현황조사, 화물자동차 통행실태조사, 위험물질 현황조사 및 물류거점 화물실태조사 등 총 5가지 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4,000여개 사업체와 33,000대 화물차, 40곳의 주요 물류거점이 조사 대상이다. 화물품목별 기종점물동량 파악 국내 품목별 수단별 화물수송 현황 분석 종사자수 5인 이상의 사업체 12,600개 물류창고업 현황 분석 물류시설 건설의 타당성 평가지표로 활용 1,000개 위험물질 위험물질 취급 사업체 330개 화물자동차 기종점물동량 산정 전국 화물자동차 운전자 33,000개 화물실태조사 물류단지 설계·평가시 규모산정 기초자료 약728개 (39곳) 이번 조사를 통해 화물 품목별 지역 간 물동량 흐름, 화물자동차 통행패턴, 물류창고와 위험물질 취급 사업체의 현황, 주요 물류거점 특성 등 물류시설·화물 분야의 기초정보를 구축하고,수집된 데이터는 자료가공 및 전수화 작업을 거쳐 국가 및 지자체의 각종 교통, 물류 투자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김배성 물류정책과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효율적 교통물류 정책을 수립하고 새로운 민간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 화물물동량 및 물류시설 현황은 화물자동차를 포함한 물류정책의 수립·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므로, 조사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전국 사업체 관계자 및 화물차 운전자분들의 많은 협조를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