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전투준비태세 완비, 실전적 교육훈련 강화, 정신적 대비태세 확립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이종섭 국방부장관은 3일‘전투형 강군’군 체질 변혁 위한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는 김승겸 합동참모의장,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등 국방부‧합참‧각 군의 주요 직위자들이 참석했다. 이종국방부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북한의 도발 위협이 그 어느 때보다도 고조되고 있는 엄중한 안보상황 속에서 ‘힘에 의한 평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리 군이 ‘전투준비태세 완비, 실전적 교육훈련 강화, 정신적 대비태세 확립’을 중시하는 ‘전투형 강군’으로 체질을 완전히 변혁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전투형 강군’ 변혁을 위해서는 우선 주요 지휘관들부터 공감대를 형성하여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전군 차원의 노력을 결집하는 것이 중요하고,국방부와 합참, 각군본부 등 상급부대는 창끝부대가 전투임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행정소요와 허례‧허식을 과감히 줄여주고, 전투임무 위주 부대운영을 위한 여건 보장에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줄 것을 당부했다. 국방부는 ‘전투형 강군’ 변혁을 위한 5대 핵심과제를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국방부 자체 추진계획을 하달했다. 1 지휘관 중심의 전투임무위주 부대운영 확립 2 적 도발 시나리오에 입각한 실전적 교육훈련 강화 3 ‘대적필승(對敵必勝)’의 정신전력 극대화 4 전투력 발휘 보장을 위한 전투형 지속지원 보장 5 전투형 인재 육성을 위한 인사운영 혁신 중앙선발을 통해 우수자원을 지휘관 직위에 우선 보직하고, 전투유공자 및 교육훈련 우수자에 평가가점을 부여하며, 부사관 인사운영체계를 전투임무를 중심으로 개선하고, 정예전투원 전문자격을 확대하는 등 다각적인 전투형 인재 육성 노력을 집중 시행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비대칭 도발이 증가하는 엄중한 안보상황 속에서 북한은 언제든 우리 부대 전방에서 성동격서(聲東擊西)식 도발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인식 하에,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구축하고 상시 유지하기 위해 말이 아닌 행동으로 싸울 준비에만 전념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또한, 전군 차원의 공감대를 확산하여 적에게는 두려움을 주고 국민께는 신뢰를 드리는 ‘전투형 강군’으로 거듭나는 데 모든 노력을 결집할 것을 한목소리로 다짐했다. 이 장관은 전투형 강군을 만들기 위해 국방을 구성하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특히 창끝부대 전투력의 근간인 초급간부들이 전투형 강군을 만드는데 핵심이므로 이들의 복무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