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업체들이 편법을 동원해 환경과 안전사고 예방에 역행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견제하고 감시해야할 여수시 의회와 환경 관련 시민단체들이 수수방관하고 있어 시민들의 시선이 곱지않다.
여수산단의 지하 이송관로가 부식 등의 위험으로 관리가 어려운데다 잦은 사고 등으로 환경을 크게 오염을 시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백억원의 정부자금을 들여 지난 지난 2005년부터 수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공용파이프랙 및 로딩암시설 설치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으나, 최근 한 신설 업체가 원료배관을 지하로 매설하고 있어 안전사고와 환경보호 등 국가시책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시민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특히 굴착공사 허가과정에서 여수산단 41개 업체가 담합하여 편법을 동원했다는 의혹이 일어 시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으나, 이를 감시 견제해야 할 시의회나 환경관련 시민단체들을 산너머 불구경만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금까지 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은 여수 산단에 조그만 사고만 발생해도 각종 '의회 특위'와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속칭 '범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진상조사와 사고예방대책을 요구하여 왔으나 ,기업의 이익을 위해 '여수산단의 원죄인 안전과 환경 사고'예방을 무시해 버린 이번 편법 놀란에 대해 조사하거나 진상을 밝히려는 노력을 전혀 하고 있지 않아 시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시민들은 여수산단 업체관계자 대부분이 이번 관로 지하매설이 잘못됐다는 것에 대해서 동의하는 상황에서 이들이 침묵하고 있는 것에 대해 '스스로 감시 견제 역할을 포기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시민 김모(50,소호동)씨는 산단에 사고만 났다하면 벌떼처럼 달려가 수사를 방불케하는 진상조사와 각종 성명서를 발표하며 사고예방 대책을 외치던 사람들이 기업이익을 위해 안전과 환경사고 예방을 무시'한 대표적인 사례인 이번 편법 논란을 모른체하고 있다"며," 항간에 들리는 소문처럼 이들이 산단 업체 관계자들과 너무 친해진 것 아니냐?"며 비꼬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