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의(翟衣)는 친애, 해로(偕老)를 의미하는 꿩무늬 적문(翟紋)을 짜넣은 포(袍)로서 대한제국 황후,황태자비와 조선 왕비,왕세자빈이 대례복(大禮服)으로 착용하였던 적의는 가례(嘉禮) 등의 중요한 행사 때에 착용하였으므로 화려한 것이 특징이고, 여기에 딸리는 부속품이나 머리 장식물들이 복잡하다.
적의를 착용할 때는 머리에 각종 비녀와 금란대로 장식한 대수(大首)를 장식하고, 속에는 중단(中單)을 착용하였으며, 겉에는 상(裳), 대대, 후수, 폐슬, 패옥, 하피, 옥대 등으로 장식하고, 청석을 신는다.적의는 영조 때에는 대홍단(大紅緞)으로 지었으나 대한제국 고종황제 이후에는 짙은 청색이었다.
적의 앞뒤에 금실로 수놓은 오조원룡보(五爪圓龍補)를 붙이고 앞면의 보 아래에서 옷단에 이르기까지 수놓은 원적(圓翟)을 좌우 7개 씩 붙이고 좌우에 각각 한 굽씩 접어서 서로 이어진 것처럼 붙인다. 뒤 길에서도 옷단에 이르기까지 원적을 좌우 9개 씩 붙이는데, 옷단 가운데에 원적 1개를 더 붙여 연이은 것 같이 하였다. 좌우 소매 뒷면 부리에도 원적을 각각 9개 씩 수놓아 원적의 수는 모두 51개였다.
대대(大帶)는 겉은 대홍단이며, 안은 흰 색 비단이고, 둘레에 옥색 비단으로 가선(加線)을 둘렀다. 끈은 남색 실로 꼬아 만들었으며 끝 부분에 같은 색의 술을 달았다. 황후의 것은 안팎이 청.홍으로 되어 있다.후수(後綬)는 홍, 백, 표(옥색), 녹 4채의 굵은 색실로 조직을 짰다. 상단에 2개의 금환(金環)이 부착되어 있다. 황후는 황색을 더하여 5채를 썼다.
패옥(佩玉)은 2개를 양 옆에 늘어뜨린다. 홍, 백, 표, 녹의 4채(황후는 황색을 더하여 5채)로 짠 소수(小綬)가 하단에 달려 있다. 소수(小綬)는 윗 부분에 금속고리 2개가 부착되어 있어 대(帶)에 걸게 되어 있다. 패옥은 형(珩) 1, 여기에 옥주를 꿴 3개의 줄에 의해 연결된 우(瑀)1, 거 1, 충아(衝牙) 1, 황(璜)이 있다. 형(珩)에서 연결된 두 개의 옥화(玉花) 밑에 옥적(玉滴) 2개가 달려 있다.
폐슬(蔽膝)은 적의와 같은 색이고 적문(翟紋)을 황후는 3등분, 왕비는 2등분으로 나누어 소륜화(小輪花) 6송이를 배치하였다. 특히 적문은 좌우 쌍이 대칭이 되며 마주 향하고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홍색으로 연을 더하였는데 황후는 운룡문(雲龍文), 왕비는 운봉문(雲鳳文)이 정교하게 짜넣었다.
목에 걸어 늘이는 장식물 하피는 검은 색 공단에 분홍색 안을 넣었다. 금실로 운하(雲霞) 28개, 적문 26개를 수놓았고, 둘레에 두 줄의 금선을 둘렀다.황후는 봉문(鳳紋)을 수놓았다. 옥대(玉帶)는 적의와 같은 색으로 겉을 싸고, 안쪽 뒷부분은 옥색 무늬비단이다. 정면의 금속대구에 붙인 옥판에 금선을 더하여 장식한 사이에 도금한 꽃 장식을 배치하였고 후면에 네모난 민옥(珉玉) 5개를 연속으로 부착했다.
조선 왕비의 법복(法服)에 착용했던 신발 청석(靑舃)은 적의(翟衣)와 같은 재질로 만들었으며, 석의 뒤꿈치와 양쪽에 검은 색 고리를 달았고 여기에 끈을 꿰어 발등에 매도록 되어 있다. 신발의 앞부분에 홍녹색 실로 꽃무늬 3개를 붙였는데, 대한제국 황후(皇后)는 구슬 5개를 장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