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어지럼증 등 불편도 적지 않아 대책마련 필요
지상파 3D 방송에 대해 시청자들은 관심과 호감이 높은 반면, 어지럼증 등 불편감도 적지 않아 향후 3D 방송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5월 19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된 지상파 3D 방송을 시청한 일반인 101명,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시청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결과, 지상파 3D방송 시청자의 75% 이상이 이번에 실시한 지상파 3D 방송에 대해 호감 및 흥미를 느낀다고 답했다. 호감이 가지 않거나 흥미가 없다는 답변은 각각 10%, 9% 이내였다.
입체감에 대해서는 76% 이상이 뛰어나다고 응답하였으며, 입체감이 별로 없다는 답변은 1.3%에 불과했다. 시판중인 3DTV의 품질을 묻는 항목에서는 71.3%가 품질이 매우 좋거나 좋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3D 방송의 생체영향성과 관련한 항목에서는 15~30분 시청 시간동안 어지럼증, 이중상, 눈의 피로, 안경착용의 불편감 등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의 30% 정도는 어지럼증 및 이중상을 느꼈으며, 눈의 피로, 안경 착용의 불편감을 나타낸 시청자는 50% 내외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는 일반인 설문조사와는 달리 40%만이 이번에 실시한 3D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호감을 표시했으며, 67.5%가 보통 수준의 입체감을 느꼈다고 답했다.
3DTV 품질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70%가 좋거나 보통으로 느꼈다고 답했으며, 이번 3D방송 흥미도에 대해서는 약 52%가 흥미로웠다고 한 반면,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자도 12.5% 정도로 나타났다.
두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3DTV 및 시범방송에 대한 호감도 및 흥미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이 전문가보다 3D 영상을 접할 기회가 적어 3D 영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이 작용하였다고 해석되며, 반대로 전문가들은 3D 영상 및 기술에 대해 비교적 엄격한 평가를 내린 것으로 판단된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방통위는 “이번에 실시한 지상파 3D 방송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side-by-side 방식의 SD급 3D영상임에도 불구하고 호감 및 흥미도가 높았던 것을 감안할 때 오는 10월 실시하는 실험방송은 dual-stream 방식의 HD급 고화질 3D 방송으로서 시청자들의 눈높이를 한 단계 격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방통위는 설문조사 결과처럼 3D 시청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5월 3D 시청 안전성 협의회'를 구성해 3D 영상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전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제정을 준비중이다.
한편, 본격적인 고화질 3DTV 실험방송에 앞서 방통위는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가 참여하는 '고화질 3D 방송 및 시청 안전성 세미나(가칭)'를 9월 중 개최해 3DTV 실험방송 추진 경과 및 국내외 3D 업계 최신 동향, 그리고 3D 시청 안전성 연구 결과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