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교과부 연구비 종합관리시스템 전면 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정부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연구비 종합관리시스템 을 전면 개편한다고 11일 밝혔다.
연구비 종합관리시스템’은 교과부가 투명한 연구비 제도 정착을 위해 지난 2002년 도입한 연구비 집행 및 관리 시스템으로 현재 정부 부처별 연구관리기관 23곳이 채택해 운영 중이다.
교과부에 따르면, 연구기관의 내부 회계시스템과 연동을 강화해 연구비 사용건별 내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또 연구자가 연구용 물품 구입시 오프라인으로 발급받아 제출하던 세금계산서를 국세청의 전자세금계산서와 연계, 온라인으로 증빙하도록 해 연구비 부정을 사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교과부는 이를 위해 출연(연), 주요 대학의 R&D 회계시스템과 연구비 종합관리시스템간의 연동 상태에 대한 점검과 업그레이드를 금년 10월까지 실시하기로 했다.
또 실시간 데이터 연동이 미진한 연구기관의 회계시스템은 업그레이드를 지원, 연구비 카드 사용내역, 인건비 지급내역, 물품 구입내역 등 전체 연구비의 95% 수준까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로 했다.
또한, 일부 대학에서만 운영하고 있는 국세청 전자세금계산서 온라인 증빙을 모든 연구기관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교과부는 올 하반기 ‘연구비 종합관리시스템’과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스템을 연동하연구기관이 물품구입 후 세금계산서를 온라인으로 조회 및 발급 받을 수 있도록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교과부는 “이 시스템이 본격 운영되면 허위 영수증 제출, 증빙자료 중복사용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구기관이 증빙서류를 종이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져 ‘종이 없는 정산’(paperless 정산)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