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역에서 아이 낳은 분만취약지도 8개군 이다.
주승용의원(보건복지위원회, 민주당, 여수시을)이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분만취약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산부인과 의료기관이 없거나 산부인과가 있더라도 분만실을 운영하지 않는 지역이 전국에 51개 시군이 있는데, 전남에는 6개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진료과목이 있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및 산부인과 표시과목 의원이다.
전남의 분만 산부인과 없는 6개군은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신안군, 장성군, 함평군이다.
또한 (기준1)관내 분만율이 30%이하이거나 (기준2)1시간 내 분만 가능한 병원의 접근이 불가능한 분만 취약지는 전국에 총 52개 지역이 있는데, 전남의 분만취약지는 8개군으로 나타났다.
(기준1) 관내 분만율 30% 이하 관내에서 분만이 가능하지 않아 전체 분만건수 중 70% 이상이 타 시군에서 분만한다.
(기준2) 1시간 내 분만 가능 병원 접근 불가능 분만이 가능한 병원으로부터 1시간 이상 소요되는 지역이 전체 시군면적의 30% 이상이다.
전남의 분만취약지 8개군은 장흥군, 보성군, 신안군, 곡성군, 구례군, 영암군, 강진군, 진도군이다.
전남의 분만취약지 8개군을 살펴보면 보성군, 신안군, 곡성군, 구례군 등 4개군은 분만 산부인과가 없어서 분만 취약지에 해당하고, 장흥군, 영암군, 강진군, 진도군 등 4개군은 관내 분만 산부인과가 있지만 거의 대부분의 산모가 타 지역에서 분만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분만취약지에 포함이 됐다.
강진군의 경우 강진군의료원에 산부인과와 분만실이 있지만 공중보건의가 맡고 있어 산모들이 거의 이용하지 않는 유명무실한 상태이다. 실제로 보건복지부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올해 강진군의료원에서의 분만은 지난 8월16일에 1명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분만취약지에 산부인과를 설치하고 시설과 장비를 지원하여 분만 취약지를 해소하는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계획을 세우고 2011년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시설 장비비로 10억원을 지원해 산부인과를 설치하고, 매년 운영비로 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운영비는 인건비로써 산부인과 전문의 2인, 간호사 8인, 조리사, 환경원 등에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52개군 지역중 21개군(노란색 음영표시)은 가임기 여성 인구 1천명 이상, 08년 관내 분만건수 250건 이상 지역으로서 산부인과 설치와 운영이 가능한 지역으로 분류하고 우선적으로 이들 지역부터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로써 전남의 경우 장흥군과 강진군은 조만간 분만 취약지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보성군, 신안군, 곡성군, 구례군, 영암군, 진도군 등 6개군은 산부인과의 설치와 운영이 어려운 취약지로 분류하고 있어서 이들 지역은 상당기간 분만취약지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주승용 의원은 일부 지자체에서 읍소재지로 ‘찾아가는 산부인과(버스)를 운영하면서 초음파 등 산전진찰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할 뿐 분만 취약을 해소하는 근본대책이 되질 못한다. 보성군을 비롯한 산부인과의 설치와 운영이 어려운 취약지’라고 해서 분만 산부인과를 설치하지 않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밝혔다.
취약지역일수록 정부가 더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 당연히 분만 산부인과를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 지역에 산부인과가 설치되기 전까지는 원거리를 통원진료하는 산모의 통원을 지원하고 응급 진료 서비스를 강화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특히, 고위험 산모에 대한 특별 관리대책도 마련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