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이현오
민주평통, 국내외 운영 상임위원 520여 명 참석 합동회의 개최... 정책건의문 채택
▲ 지난 7월 제15기 민주평통 출범회의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이 평통 자문위원들에게 손을 들어 답례하고 있다. ⓒ청와대 자료사진
대통령 자문 헌법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의(수석 부의장, 김현욱)는 23일 오후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운영위원과 상임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합동회의를 갖고 정부측으로부터 남북관계 현황 및 대북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보고를 들은 뒤 '통일비전과 통일준비 과제'와 관련한 정책건의문을 채택했다.
또 회의에서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1년이 되는 날임을 상기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북한의 무모한 군사도발의 당기 포기와 사과 등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520여 명의 국내외 운영·상임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 날 회의에서는 김천식 통일부차관의 '대북정책 추진 현황'보고에 이어 이상직 사무처장의 2011년 주요업무 추진현황 보고, 이어 유호열 기획위원장에 의한 정책 건의문 보고와 채택, 그리고 결의문 순으로 이어졌다.
이 날 유 위원장은 통일비전과 통일준비의 과제 참여와 확산을 주 의제로 한 정책건의문에서 생활밀착형 통일비전'의 개념을 정립한데 이어 문화중심 통일비전 확산 주력 2040대상 통일비전 확산 전략 수립 필요'와 생활형 통일운동 전개 등을 건의했다.
특히 2040대상 통일비전 확산 전략 수립의 필요 분석에서 현재의 통일비전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추진되고 있는 상황으로 여전히 노장층 중심의 참여가 주류이며, 젊은 세대의 참여 유도가 취약하다"고 진단하고 세대별 인식 조사를 실시해 이를 토대로 한 세대별로 차별화된 통일논의 확산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같은 진단은 앞으로 통일의 주역이면서 통일의 수혜자가 될 2040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특화전략 수립임을 덧붙이고, 특히 SNS를 활용해 통일비전과 논의를 확산하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앞으로의 통일운동 방향을 '생활형 통일운동'으로 잡고, "생활차원의 실천을 통해 국민이 통일문제에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통일운동을 기획"하고 "북한이탈주민 돕기, 북한인권 개선활동 등 일상생활 속의 통일 실천운동이 확산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개발을 확대할 것"등 을 건의했다.
그런데 이번에 채택돼 대통령께 건의하게 될 '통일비전과 통일준비의 과제 : 참여와 확산'은 평통 9개분과위원회에 소속된 480여 명의 상임위원들이 지난 1일부터 1주일여에 걸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이는 이 달 중순 국민통일여론조사를 토대로 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다음은 이 날 위원들이 연평도 포격 도발 1년에 즈음해 채택한 결의문 전문임.(konas)
[결의문]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에 즈음한 민주평동 운영·상임위원의 결의
1년전 바로 오늘, 북한은 대한민국 영토 연평도에 해안포를 발사했다. 이는 UN헌장과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를 위반한 명백한 무력도발이었다. 또한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비열한 만행이다.
저들의 만행에 끓어오른 분노는 아직도 우리의 가슴 속에 깊이 남아 있다. 우리는 꽃피워보지도 못한 채 쓰러져간 해병장병과 무고한 민간인들의 희생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하지만 북한은 자신들의 소행에 대해 지금까지 어떠한 책임있는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이에 우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운영 상임위원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에 즈음하여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하나, 우리는 북한이 지금 당장 무모한 군사도발을 포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하나, 우리는 북한이 천안함 및 연평도 도발에 대해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는 등 책임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
하나, 우리는 북한이 남북관계 경색을 초래하는 대남 긴장조성 행위와 핵프로그램 개발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
하나, 우리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원칙있는 대북정책을 적극 지지하며, 앞으로도 조국의 평화통일과 국가안보, 국민통합에 앞장설 것을 굳게 다짐한다.
2011년 11월 23일
제15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운영 상임위원 일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