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운영기관은 지난 3월 (26일)동안 1-9호선 지하철 부정승차를 단속한 결과, 총 3,894건의 부정승차를 적발하고 1억8천만원의 부가금을 징수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공정한 대중교통 이용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1~9호선 지하철 개통 이래 처음으로 서울시와 지하철운영기관 공동으로 ‘지하철 부정승차 일제단속’ 계획을 수립하고, 부정승차가 잦은 역·시간대 등을 중심으로 집중 단속했다.
지난해 같은 시기 부정승차 단속에 적발된 1,257건과 비교해 올해 적발건수는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속 결과, ▴표 없이 탑승한 경우가 3,235건으로 전체의 83%를 차지했으며,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이 398건(10%) ▴어린이 교통카드 부정사용이 262건(7%) 순이다.
이번 부정승차 단속에 적발된 사람 중 가장 많은 부가금을 낸 사람은 57,350원으로, 표 없이 지하철을 타고 수원에서 종로까지 이동한 ‘구간요금(1,850원)’에 ‘구간요금 30배(1850원×30)’를 더한 금액을 납부했다.
한편 부정승차 적발이 가장 많은 역은 7호선 철산역으로 1달 간 총 125건이 적발됐으며, 다음으로 5호선 강동역 114건, 7호선 논현역 108건이 뒤를 이었다.
시 이병한 교통정책과장은 “공정한 대중교통 이용문화를 어지럽히는 ‘지하철 부정승차’는 장기적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불법행위”라며 “앞으로도 수시로 부정승차 단속을 할 예정이니 신분에 맞는 요금을 내고 정당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