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행정안전부 15일 준공식 개최
끊어진 백두대간 이화령 구간이 15일 복원됐다. 1925년 단절된 이후 87년만이다.

복원 전(사진= 행정안전부)
이화령 복원은 일제에 의해 단절된 백두대간을 되살려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일임과 동시에 한반도의 중심 생태축을 연결해 생태계를 복원하는 일이다.

복원 후.(사진=행정안전부)
이화령은 백두대간의 본줄기(大幹)로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를 잇는 고개다.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을 연결하는 지역이며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으로 일제 강점기인 1925년 도로개설로 단절됐다.
이화령 복원사업은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이 주관, 올해 2월부터 백두대간 시민단체·환경·조경·산림전문가 및 향토 사학자 등 자문을 받아 4월 초 설계를 완료하고 6개월 간의 공사를 거쳐 준공됐다.
단절된 이화령 고개에 연장 46m(폭14m, 높이10m) 터널을 만들고, 터널상부를 단절되기 이전의 높이로 성토(해발 548m)한 후 수목을 심어 생태통로를 조성해 백두대간을 복원했다.
이화령 복원사업 준공과 더불어 앞으로 복원이 시급한 백두대간 단절구간 12개소를 연차적으로 복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화령 복원 준공식은 15일 오후 2시 이화령 휴게소 광장에서 열렸다.
준공식에는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들과 지역주민, 백두대간 보존관련 시민단체(백두대간 보존회, 백두대간 시민연대, 백두대간 진흥회) 대표와 회원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취타대 연주와 대북공연을 시작으로 경과보고, 축사 등과 더불어 이화령 복원을 축하하기 위해 작시한 이근배, 유안진 시인의 시비제막식도 함께 진행됐다.
특히 이근배 시인의 “솟아오르는 백두대간이여 하나 되는 국토의 혈맥이여” 시를 초등학생 용하정 어린이가 판소리로 공연해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백두대간 이화령복원은 우리 민족의 정기와 얼을 바로 세운다는 측면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며 “한반도 중심 생태축이 연결되어 생태계도 원래대로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야생동물연합 조범준 사무국장은 “이화령 복원으로 민족정기를 되찾은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한반도 생태계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한반도의 생물 다양성을 높이게 될 것”이라고 크게 기뻐했다.
우리나라 백두대간을 여성 최초로 종주한 남난희씨는 “백두대간을 종주하면서 끊어진 구간을 보며 가슴 아팠다”며 “이화령 복원은 우리민족의 자존심을 다시 세운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