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40대 여성 주의…균형잡힌 식습관 중요
여성의 빈혈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6년간(2006-2011년) 빈혈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빈혈 질환 진료인원은 2006년 37만6000명에서 2011년 48만8000명으로 30%가량 늘어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은 2006년 7만9000명에서 2011년 11만명으로 연평균 7.0% 증가했고, 여성은 같은 기간 29만7000명에서 37만8000명으로 연평균 4.9%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3.2%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0대 17.0%, 9세 이하 12.6%, 50대 12.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여성은 전체 진료인원의 21.2%를 차지했다.
빈혈 질환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6년 461억8000만원에서 2011년 821억원으로 최근 6년새 78% 가량 증가했다.
빈혈은 혈액 내 적혈구 또는 혈색소가 감소된 상태를 의미하며 생리과다, 위장이나 대장 출혈, 고기 섭취를 하지 않는 채식주의자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흔히 어지러움, 운동시 호흡곤란, 전신 무력감, 피로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빈혈의 원인은 체내 철분 부족이 70-80%를 차지하며 철분제나 소고기 같은 육류 섭취로 철분을 보충할 수 있다.
또 자궁 염증 같은 산부인과 질환이나 각종 만성질환도 빈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무작정 철분제를 복용하기 전에 먼저 정확한 원인을 진단받는 것이 좋다.
이상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가장 흔한 빈혈 유형은 철분결핍성 빈혈’인데, 여성의 생리 과다, 위장이나 대장 출혈, 고기 섭취를 하지 않는 채식주의자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며 균형 잡힌 식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