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일레븐은 점주협의회 회장에 대한 고소를 취하하고 가맹계약 개선해야
장하나 의원은 유통 재벌의 불공정행위 근절과 경제민주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장하나 의원은 5일 논평에서 적반하장도 유분수라더니 롯데그룹 세븐일레븐의 행태가 딱 그 꼴이다. 세븐일레븐은 불공정행위를 공공에 알린 오명석 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 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을 경찰에 고소했다. 자신들의 잘못을 바로 잡을 생각은 하지 않고, 명예훼손 운운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본사의 불공정행위를 알린 점주들에게 언론 접촉 등의 대외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확약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외활동을 안 하는 대가는 수천만 원대의 폐점위약금을 수백만 원대로 깎아주는 것이다. 이게 끝이 아니다. 방송 인터뷰를 했던 한 20대 여성 점주는 방송 다음 날 새벽에 찾아온 본사 남성 직원 3명으로부터 협박을 받았다. 또한 본사가 점주들의 온라인 카페 활동까지 감시하고 탈퇴를 종용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세븐일레븐이 자신들의 돈과 권력을 이용해서 약자들을 협박하고, 매수하고, 고소하는 꼴이 딱 조폭이다. 우리나라 재벌들의 횡포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유통 재벌들의 골목상권 침해와 편의점 업계의 불공정행위는 도를 넘어선 재벌들의 후안무치한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본사의 허위 정보에 속아 개업한 편의점 점주들은 적자를 보면서도 위약금 때문에 폐점도 못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불공정한 구조 속에서 얼마 전 거제의 한 청년 가맹점주가 적자와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살한 가슴 아픈 사건도 있었다.
전국에는 3만개가 넘는 편의점과 30만개가 넘는 각종 가맹점들이 있다. 가맹점 주들 가운데 상당수는 퇴직한 50대 가장이거나 취업을 포기한 2·30대 청년이다. 이들은 지금 재벌의 횡포 속에 삶의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경제민주화는 양극화가 극심한 한국의 시대정신으로 자리 잡았다.
경제민주화를 기치로 민주통합당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한 장하나 의원은 유통 재벌의 불공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 장 의원은 가맹사업법 개정 등 법·제도 개선과 더불어 유통 재벌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시를 늦추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하나 의원은 세븐일레븐에 점주협의회 회장에 대한 고소를 취하하고 부당한 가맹 계약을 개선할 것을 요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