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 2학기 42곳, 내년 1학기 40여곳 시범 운영
다양한 체험·참여형 프로그램…2016년 3월 모든 중학교 전면 도입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적성 및 진로를 찾기 위해 올해 9월 도입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학생들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보지 않는다.
또 자유학기를 지낸 연구학교 학생들의 활동내용은 고교 입시에 반영되지 않는다.
교육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을 발표했다.
자유학기제는 공교육 정상화를 이끌어 갈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행복한 학교생활 속에서 스스로 꿈과 끼를 찾고 창의성, 인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에 발표된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은 오는 9월과 내년 3월부터 운영하는 연구학교에 적용된다.
오는 9월부터 운영될 연구학교 42곳은 1학년 2학기에, 내년 3월부터 운영될 연구학교 40여곳은 2학년 1학기에 자유학기를 운영한다.
자유학기제 운영 학년은 학교의 희망에 따라 다른 학년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교육부는 학생이 자기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학교 진로교육 성취기준 및 성취지표’를 국·영·수·사·과 등 기본교과의 교육내용에 반영해 체계적인 진로학습을 실시한다.
또 학생 희망에 따른 다양한 체험·참여형 프로그램 운영이 강화된다.
학생들이 원하는 동아리 개설과 다양한 청소년단체의 참여 및 활동을 적극 권장하고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연구학교들은 자유학기 동안 기존의 중간·기말고사 기간 및 학교재량휴업일을 활용해 전일제 진로체험 등 다양한 형태의 체험·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현재도 교과별 수업시수의 20% 범위 내에서 수업시간을 늘이거나 줄여서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지만, 학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보다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교사들이 교육내용을 핵심 성취기준 중심으로 재구성해 보다 융통성 있게 수업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자유학기에는 기존에 실시하던 중간·기말고사는 실시하지 않는다.
대신, 학교별로 수업진도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진전 상황을 확인하고 이를 학생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평가, 자기 성찰 평가 등 적절한 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
한편 이날 발표한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은 학교들이 사정에 맞게 자율적으로 자유학기의 교육과정을 편성해 운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라인의 성격이다.
교육부는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의 운영 성과 등을 바탕으로 2015년 6월 ‘자유학기제 실시계획’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며, 2016년 3월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전면 실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