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이안류 조기경보 확대 시행…신속한 사고 대응 체계 구축
지난해 여름, 가족들과 해운대를 방문했던 김모(37)씨 가족들은 웃지 못할 해프닝을 겪었다.
5살 난 딸아이는 해파리에 쏘여 다리가 퉁퉁 붓고, 김씨 본인은 먼 바다로 갑자기 물살이 빨라지는 이안류에 쓸려 구조대의 도움을 받았다.
올 여름부터는 이처럼 해수욕장에서 ‘봉변’을 당하는 경우가 상당히 줄어들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양경찰청과 함께 안전하고 쾌적한 해수욕장 만들기 종합 방안을 마련해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보고에서 해수부와 해경은 ‘불만 Zero, 사망사고 Zero’ 해수욕장 조성을 목표로, 4대 위협요인에 대한 사전예방 강화, 신속한 사고대응체계 구축, 해수욕장 품질을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우선 4대 위협 요인(이안류, 해파리, 위생,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안류 예보를 현행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제주 중문, 충남 대천 등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확대 시행한다.
해파리 등 유해생물이 출현할 경우 안내방송과 함께 신속한 수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해운대와 을왕리 해수욕장에 해파리 유입 차단망을 시범 설치한다.
위생관리 강화를 위해 선진국과 같이 대장균을 수질 감시 항목으로 선정하고 모니터링 횟수도 2배 이상 강화한다.
또한, 해수욕장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유리병 반입 안하기 운동’ 등을 실시해 쾌적한 해수욕장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신속한 사고대응 체계도 구축했다. 인명 구조를 위해 ‘122 인명구조전경대’ (180명)를 창설, 안전관리를 강화했다.
해수욕장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를 엄단하기 위해 성범죄 특별수사대를 확대(1개소-5개소)하고, 24시간 해상안전센터(50개소)를 운영하는 등 범죄사각지대를 없앤다.
해수욕장 품질의 지속 개선을 위해, 관련 법과 제도 정비를 추진한다.
해수욕장의 효율적 관리체계 구축 및 안전·환경기준의 법제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종합 대책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한편,이안류나 해파리 쏘임 시 대처방법 등을 담은 리플렛도 배포하는 등 집중적인 계도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