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경찰 분석관 CCTV동영상 일부를 왜곡했다는 주장을 두고 온·오프라인을 불문하고 그 여파가 전해지고 있다.
[뉴스파인더] 검찰의 CCTV 일부 왜곡이 검찰조직의 전반의 윤리와 투명성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에 관련자 색출 및 파면 처벌이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계속 드러나는 CCTV 왜곡 문제
그동안 검찰과 야당에서 경찰의 사건축소 및 은폐 증거로 내세웠던 CCTV 동영상 일부가 짜깁기 됐다는 주장에 대한 공방은 여전히 뜨겁다.
지난 19일 청문회에서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은 김기용 전 경찰청장이 서울경찰청 분석관들을 찾아갔을 때 장면을 보여주면서 이를 비판했다.
야당에서 공개한 동영상에는 김 전 청장의 발언이 “시간이(없으니) 빨리 했으면 좋겠다”라고 돼 있는데 실제 공개본에는 “시간이(없으니) 빨리했으면 좋겠다는 게 국민여론이고, 양당이(그렇게) 얘기하고 있으니 힘들더라도 해봐”라고 나와 있다는 주장.
김태흠 의원은 “전체 동영상은 127시간동안 증거 분석 과정을 촬영한 것인데 야당이 구미에 맞게 조작해서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문회에 출석한 해당 분석관들도 새누리당 의원들의 주장이 맞는다고 했다. 거두절미되면서 의미가 정반대로 전달되도록 편집됐다는 얘기다.
또 지난 6월 검찰이 발표한 자료에는 “‘그거다’는 우리 다 같이 죽자는 거예요”라는 내용이 실렸다. 마치 분석관들이 국정원 직원의 선거 개입을 은폐하려는 것처럼 표현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게 그렇다고 어떻게 확신해요 ‘이럴거다’는 안돼요 ‘그럴거다’는 우리들 다 같이 죽자는 거예요”라고 말한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앞서 분석관들은 “그게 그렇다고 어떻게 확신해요”, “확신은 못하죠”라는 대화도 나눴다.
다시말해 이는 추정이 아닌 보다 명확한 증거를 찾아 내놔야 한다는 대화였다. 검찰이 발표한 것처럼 은폐·축소를 작당하는 뉘앙스의 대화가 아니라는 얘기다.
결국 검찰의 발표가 자신들이 원하는 내용에 맞게 끼워맞춘 것에 불과한 게 아니냐는 강한 비판에 직면했다.
검찰 CCTV 왜곡이 일으킨 불씨
여론은 검찰이 재판이 아님에도 녹취록 등 자세한 정황을 공개한 것에 대해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그것도 원하는 방식으로 편집하고, 자의적 해석까지 덧붙인 자료.
세간이 지목하는대로 운동권 검사의 정치적 성향에 따른 의도된 제스쳐가 아니었겠느냐는 비판도 그래서 나온다.
뉴스파인더 자체 확인 결과 검찰의 의도와 별개로 녹취록 내용을 일부 편집해서 발표한 것은 사실로 보인다.
시민단체들은, 국민들로서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동요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 촛불시위의 불씨형성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줬을 것이란 판단이다.
설령 의도적으로 짜깁기한 건 아니라는 검찰의 주장에 백번천번 양보해 받아들인다해도 검찰이 이번 논란을 자초했다는 얘기다.
경찰에 대한 불신에서 이제 검찰에 대한 불신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
특히 증거 조작 주장은 검찰 조직의 근간을 송두리째 흔들 수 있는 사안으로 평가된다.
과거 2010년 일본 오사카 지검 특수부 검사 마에다 츠네히코는 후생성 간부를 조사하면서 증거물의 날짜를 조작했다가 상관인 부장검사, 차장검사와 함께 구속, 파면되고 징역 1년6개월을 선고 받은 바 있다.
현재 시민단체들은 검찰 CCTV의 악의적 편집 등 국가적 혼란원인이 채동욱 검찰총장에게 있다고 보고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