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국정원 트위터 글은 2만6000건(리트윗 121만건)이 아니라 2300건(리트윗 수만건)
국정원은 검찰이 2차 공소장 변경을 신청한 121만건의 트위터 글은 국정원 직원이 쓴 것인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도도자료에서 24 밝혔다.
검찰은 선거 정치 관련 트위터 글 2만6000여건을 제시하면서 그중 ‘국정원 직원이 작성한 글이 몇 건인지’, ‘국정원 직원 몇 명이 계정 몇 개를 동원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은 채 이 글들이 자동으로 복사 전파된 것을 모두 합쳐 121만건을 새로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1차 공소장 변경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글을 올린 트위터 계정(ID) 사용자가 누구인지 특정하지 않아 실제 국정원 직원과 관계없는 글이 상당수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검찰이 1차 공소장 변경 때 국정원 직원 것이라고 주장한 트위터 글을 직접 분석한 결과, 2300여건만 국정원 직원과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했고, 이를 리트윗한 것도 수만건 정도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국정원 직원과 관련된 2300여건은 직접 쓴 글이 139건에 불과하고, 나머지 글은 신문기사 또는 다른 사람의 글을 단순 리트윗한 것이고 검찰이 당초 국정원 직원들의 정치관여 선거개입 증거라고 주장했던 5만5689건 트위터 글 중 국정원 직원ㆍ외부 조력자가 쓰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2만7000여건을 이번에 철회한 것도 그동안 검찰 수사가 얼마나 부실하고 무리하게 진행됐는 지를 자인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검찰이 대표적인 국정원의 선거개입 글이라고 주장했던 여당 후보 후원계좌와 박사모 회원 글(1만5천여건)을 스스로 철회한 사실도 이를 반증하고 검찰이 1차 공소장 변경 때 제기한 5만5689건에서 2만7000여건을 철회했기 때문에 논란이 되는 원 트위터 글은 1차 때보다 오히려 줄어들고, 단순히 글 총량만 늘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121만건 글의 내용이 이미 기존 것과 유사하고, 자동프로그램으로 숫자만 급격히 불어났다는 것은 검찰도 인정하고 있다.
국정원은 검찰이 “불법선거유인물을 나눠줄 때 3가지 각기 다른 유인물을 100만장 뿌렸다면 100만장을 나눠준 것”이라고 설명한 것 역시 이를 반증하고 이 발언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번 검찰의 공소장 변경은 ‘3가지 유인물에 불과한 것을 마치 100만가지 유인물인 것처럼 포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트위터를 이용한 대남선동에 대응해 방어심리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트위터글 자동 전파 프로그램을 사용해 왔으며 이는 국내 정치관여나 선거개입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국정원은 검찰이 새롭게 발견했다는 트위터 글 전체 자료가 입수되는 대로 면밀한 분석을 거친 뒤 추가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