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반정(中宗反正)
연조는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키면서 많은 선비들을 제거하고 폭정을 계속하였다. 경연과 대제학(大提學)을 폐하였으며, 성균관을 폐하여 오락장소로 만들었다. 원각사(圓覺寺)를 폐하여 연방원(聯芳院)으로 고치고, 흥청(興淸)들과 기거를 함께하며 채청사(採靑使)를 각 지방에 보내 미녀를 끌어들이고, 유희와 안락으로 세월을 보내며 국정을 도외시했다.
폭정으로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연조의 비위을 상하여 파직되었던 전 이조 참판(吏曺 參判) 성희안은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박원종(朴元宗)과 밀약하고 이조 판서(吏曺 判書) 류순정(柳順汀)의 조력을 얻어 1506년 음력 9월 연조가 장단(長端)으로 유람(遊覽)하는 틈을 타서 성종(成宗)의 둘째 아들 진성대군을 추대할 계획을 세웠다.
군자부정 신윤무(申允武) 등의 호응을 얻었으나 왕이 행차를 중지하므로 계획이 좌절되었으나 호남 지방의 류빈(柳賓)·이고(李顆) 등이 진성대군 옹립의 격문을 전하였고 성희안과 박원종, 유순정 등은 밤에 훈련원에 장사(壯士)를 모아 광화문 밖에 있던 신수근(愼守勸)과 그 아우 신수영(愼守英) 및 임사영(任士英)을 살해하여 궁중의 측근자를 없앤 다음 성희안은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궁중에 들어가 자순왕대비의 하명을 받고 자고 있던 연조를 습격해 옥새를 빼앗아 연조를 폐하여 교동(喬桐)에 안치하고 진성대군을 중종으로 옹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