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년 고조 광무제가 건국한 근대적 자주독립국 대한제국(Daehan Empire) 정부가 1899년 8월 17일 반포한 대한제국(大韓帝國)의 헌법적 법전의 명칭은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였다. 대한국(大韓國)'이라고 표기하는 것은 민족적 자긍심을 감안한 것으로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는 총 9조로 구성되어 있고, 대한국(大韓國) 황제(皇帝)의 육해군 통수권, 계엄령 발포권, 법률 제정·반포권, 문·무관 임명권, 외국과의 조약(條約) 체결권·선전강화권·사신 파견권 등을 규정하고 있다.
대한국국제 1조에서 대한제국이 세계만국의 공인된 자주독립국임을 밝히고 1899년 청국과 통상조약을 체결해 공사(公使)를 교환하고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해 1899년 원수부(元帥府)를 창설하면서 황제가 대원수로 취임하였으며 1902년 경군(京軍)은 친위대(親衛隊)를 2개 연대로 증강하고, 2개 연대의 시위대(侍衛隊)를 창설했으며, 호위군(扈衛軍)도 호위대(扈衛隊)로 증강·개편했다. 지방군도 진위대(鎭衛隊)를 6개 연대로 증강시켜 경기도·경상북도·평양과 국경지대에 배치했다.
1900년 순회재판소가 설치되고 1902년 제중원(濟衆院)이 광제원(廣濟院)으로 개칭되었으며 대한제국 정부는 국민의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해 1902년 국가(國歌)를 제정하였고, 1903년 국민개병을 원칙으로 하는 징병제도에 관한 조칙이 내렸다. 고조 광무제는 해삼위(海蔘威;연해주(沿海州)의 블라디보스토크)·간도(間島) 교민을 보호하기 위해 1902년 해삼위통상사무(海蔘威通商事務)·북간도관리(北間島管理)가 설치하여 이범윤(李範允)을 임명하고 북간도(北間島)를 영토 편입했다.
국가의 재정적 기초를 튼튼히 할 양전(量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양전사업이 진행되면서 근대적 소유권제도로의 발전을 뜻하는 지계(地契)의 발급도 촉진되었다. 상공업정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섬유·철도·농업·운수·광업·상사·금융 부문에 근대적 회사들이 설립되어, 근대 과학기술을 응용한 방직·정미·측량기계와 윤선(輪船) 등이 제조되고 1902년 경제생활의 기준이 되는 도량형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어, 1903년 전국적으로 실시했다.
대한제국(大韓帝國) 정부의 교육정책은 근대적 상인, 기술자의 양성을 목표로 한 실업교육이 강조되어 외국에 유학생을 파견하기도 했으며 상공학교·광무학교 등 많은 공립실업학교가 세워졌고 전국 각지에 세워진 많은 사립학교들도 대부분이 실업교육을 표방했다. 통신·교통 시설도 개선되어 우편·전보망이 전국적으로 확충되어 갔으며, 서울·인천·개성·평양 등지에 전화가 개설되었고 철도는 외국인에게 특허되어 외국 기술과 자본에 의해 부설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