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부도심 역세권 준공업지역 등 8개 지역 지역생활권 정비계획 수립 용역 착수
낙후지역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사업기간 단축, 공공성 강화 및 신뢰도 증대 기대 영등포역 인근 집창촌, 쪽방촌이 업무·문화·주거기능을 복합화한 부도심으로, 대림역, 충정로역, 사당역, 봉천역 일대가 역세권시프트로, 문래동, 신도림동, 가산동 등 낙후된 준공업 지역이 첨단산업과 주거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주로 도심에서 시행하던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일부 부도심과 역세권 및 준공업지역 등 지역 생활권까지 확대하여 자치구와 함께 공공지원으로 개발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3월 2020 시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신규 지정된 정비예정구역 중 자치구에서 정비계획 예산을 확보하는 등 추진의지를 가지고 시비지원을 요청한 8개 지역에 대해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대부분 5월 정비계획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도심지가 아닌 대부분의 상업, 준주거, 준공업지역은 건축허가를 취득하여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다수의 필지를 포함하는 사업부지는 토지등소유자의 동의를 100% 받기 어려워 사실상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주거환경 및 산업 여건이 매우 열악한 낙후지역에 머물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20 시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수립 시 낙후된 부도심, 역세권, 준공업지역에 대하여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시기능의 회복, 상권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에 대하여 신규 정비예정구역을 지정했다.
이번 대상지역은 부도심 1개 지역, 역세권시프트사업(장기전세주택) 4개 지역,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 지난해 정한 우선정비대상 3개 지역 등 총 8개 지역이다.
정비계획 수립 용역비 일부를 시비(18억)로 지원함으로써 그동안 주민제안에 의존하여 정비계획을 수립·입안하던 관례에서 벗어나 자치구에서 계획을 직접 수립할 수 있게 되어 사업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사업의 공공성과 신뢰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주민이 정비계획을 수립하려면 사전 주민동의 50%, 추진위원회 설립, 정비계획수립업체 선정, 정비계획 수립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 반면 공공이 정비계획을 세울 경우 토지등소유자의 동의(75%)를 받기가 수월해져 기간이 1-2년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당지역들은 금년 5월중에 정비계획 용역에 착수, 2011년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번 정비계획으로 부도심 중 낙후지역으로 신규 지정된 영등포역 인근 집창촌, 쪽방촌 일대를 집중 정비함으로써 부도심의 위상을 갖출 수 있다.
영등포역 인근 집창촌 주변지역은 부도심 지역임에도 낙후된 환경으로 지역 활성화를 저해하여 왔으나, 이번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부도심 기능 회복을 위한 상업, 문화, 공공기능의 복합화를 추진한다.
역세권시프트(장기전세주택)의 공급확대를 위해 대림역, 충정로역, 사당역, 봉천역 일대의 역세권 고밀복합화가 추진될 예정이다.
역세권 범위는 반경 250m를 원칙으로 하되, 부지의 일부분이 250m를 넘는 경우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반경 500m까지 사업이 가능하도록 해 역세권 고밀복합화를 통한 주택공급(장기전세주택)의 확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역세권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대상 기준 범위에서 노후도(20년이상 건축물의 전체 50%이상) 등을 만족하는 지역을 선정했다.
지금까지 마땅한 개발방안이 없어 방치되어 오던 낙후된 준공업 지역인 영등포구 문래동, 구로구 신도림동, 금천구 가산동 3개 지역을 첨단산업과 주거가 공존하는 방향으로 정비할 예정이다.
준공업 지역의 경우 오랫동안 유지되던 수도권 규제강화로 서울지역의 대규모 산업집적 기반이 공동화되는 등 주거환경 및 산업 여건이 매우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이번 도시환경정비로 전시장, 연구소, 일반 업무시설, 공장, 아파트형공장 등 산업용도와 주거용도를 허용하게 되어 노후 준공업 지역의 합리적 정비가 가능할 뿐 아니라, 첨단산업과 주거가 공존할 수 있는 지역으로 공공정비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시는 이번 정비계획 지원을 통해 지역생활권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며, 연차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