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매년 찾아오던 불청객 황사 발생 일수가 줄어든 올 봄철의 서울 미세먼지 농도가 52㎍/㎥로 95년 측정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매년 좋아지고 있는 공기질’에 대해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쉽게 공기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서울 공기가 맑고 깨끗한 날에는 남산 N서울타워에 서울하늘색 조명을 표출하고 있다.
서울 하늘색 조명의 의미는 미세먼지 농도가 45㎍/㎥ 이하로, 서울 공기가 대표적인 청정지역 ‘제주도수준으로 맑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명이 켜지는 시간은 일몰 후부터 11시까지 (단, 동절기는 10시까지)로 시민들이 시내 어디서나 쉽게 서울의 공기질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시는 최근 10년간의 1-4월 미세먼지 농도를 분석한 결과 2003년에는 79㎍/㎥이었으나 2010년에는 55㎍/㎥(2011년에는 59㎍/㎥)로 대폭 감소하고, 올해는 그보다 더 감소한 52㎍/㎥를 기록했다.
또한, 미세먼지농도가 45㎍/㎥ 이하로 남산 N서울타워의 푸른 조명이 켜진 날도 동기간 중 52일을 기록, 지난해보다 4일 증가했다.
지난 10년간의 추이를 보면, 봄철(1-4월)의 미세먼지 농도는2003년 79㎍/㎥에서 금년에는 52㎍/㎥으로 감소되었으며, 고농도일(100㎍/㎥ 이상)은 2003년 24일에서 금년도 3일로 1/8수준으로 줄어든 반면, 45㎍/㎥ 이하일은 16일에서 52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시는 이처럼 전년에 비해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진 이유를 두 가지로 분석하고 있다.
그 하나는 지난해에 비해 황사발생이 감소하는 등 기상 여건이 좋았다는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서울시와 자치구들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미세먼지 저감사업에 따른 효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밝혔다.
기상 여건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3일간 고농도 황사의 유입이 있었으나 금년에는 없었으며, 강수일 12일 증가하고(29-41일), 강수량도 49.2mm 증가하는(162.7-211.9mm) 등 기상여건이 양호했다.
시는 서울의 대기질을 해외 선진도시들의 수준으로까지 개선해 나가겠다는 목표 아래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그 주요내용은 천연가스 버스 도입, 공사장 비산먼지 관리, 도로 물청소, 경유자동차 저공해화 등이다.
김현식 시 기후대기과장은 대기질에 대한 정보를 시민에게 보다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 ‘대기환경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cleanair.seoul.go.kr)’ 도 운영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오존, 황사, 이산화질소 등 대기관련 각종 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으므로 시민들이 수시로 접속하여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많이 구해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