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 = 서울의 하루는 어땠을까? 하루 평균 229명이 태어나고 115명이 사망했다. 178쌍이 부부가 됐고 53쌍의 부부가 이혼했다. 729만 명이 지하철을, 457만 4천명이 버스를 이용했으며, 1.1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시 인구는 1,037만 명으로 전년 대비 18,462명 감소했다. 인구밀도는 1㎢당 1만7,134명으로, 인구 감소에 따라 인구밀도도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수(419만4천 세대)는 2000년 이후 증가세에 있지만, 세대원 수는 2.41명으로 감소 추세다. 서울시 등록 외국인 수는 전년 대비 2만2천여 명 증가한 26만6천 명으로 서울시 전체 인구의 2.6%를 차지했다.
서울시민 평균 나이는 서울시가 통계연보를 발간하기 시작한 1961년 이래 처음으로 40대(40.2세)에 진입했다. 2000년 33.1세보다 7.1세 높아진 수치다.
시민 10명 중 1명(11.8%)이 65세 이상 어르신이었고, 이중 22.4%는 홀몸어르신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반영하듯 인구구조는 유소년 인구는 적고 청장년층은 많은 ‘항아리 형태’를 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은 총 6,787개소로 5년 전('09년)과 비교해서 19.4% (1,103개소) 증가했다. 이중 국·공립 시설은 844개소로, 5년 전보다 34.8%(218개소) 증가했다.
고용률은 60.4%로 2009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실업률은 4.5%로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총 주택 수는 360만4천 호로 전년대비 1.6%(5만6천 호) 증가했고,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전체의 44.8%를 차지했다.
서울의 소비자물가지수는 2000년과 비교해 1.5배 상승했다. 하수도료가 4.8배로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고, 자장면과 치킨은 각각 1.6배, 1.5배, 택시비와 시내버스 요금은 1.8배 올랐다.
서울시는 이와 같이 지난 2014년 인구·경제·주택·교육·교통 등 20개 분야 344개 주요 통계를 통해 서울의 사회생활상을 엿보는 ‘2015 서울통계연보’를 발간하고, 서울통계 홈페이지를 통해 26일 공개했다.
20개 분야는 토지 및 기후 인구 노동 사업체 농림수산업 광업·제조업 및 에너지 전기 가스 수도 유통·금융·보험 및 기타 서비스 주택·건설 교통·관광 및 정보통신 보건 및 사회보장 환경 교육 및 문화 재정 소득 및 지출 공공행정 및 사법 전국통계 등 이며, 각 분야별 세부 통계자료들로 구성된다.
세부 통계자료에 앞서 2014년 서울의 통계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서울의 하루’를 한 페이지로 소개하고, 인구 노동 전력 상수도 소비자물가 등 19개 분야를 그래프로 쉽고 간결하게 보여준다.
최영훈 시 정보기획관은 “1961년 발간 이래 올해로 55회째를 맞는 서울통계연보가 변화된 서울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통계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