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현재 난간(1.5m)-난간(1m) 추가 형태…생명의 다리’ 문구는 그대로 유지
한국디지털뉴스 정승로 기자 = 서울시는 9일 2012년부터 설치 운영했으나 지난해 말 사업이 종료된 마포대교 ‘생명의 다리’ 캠페인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시민 아이디어를 토대로 마포대교에 새로운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생명의 다리’ 캠페인은 교량 위 투신을 막기 위해 교량 난간 위에 마음을 위로하는 문구를 설치하고, 사람이 지나가면 자동인지센서를 통해 조명이 들어오는 형태로 2012년부터 마포대교에, 2013년부터 한강대교에 삼성생명 협찬으로 실시됐다. 마포대교는 지난해 11월 사업이 종료되면서 문구는 그대로 있지만 조명은 꺼진 상태다. 현재 마포대교 난간(1.5m)과 난간 위에 설치돼 있는 희망의 다리 문구는 그대로 유지하되, 그 위에 와이어와 롤러를 이용한 1m 높이의 난간을 추가로 올리는 형태다. 마포대교 양쪽 총 2.16km 전 구간에 적용된다.
생명의 다리 설치 시 교량 중간 전망대에 함께 조성된 ‘한 번만 더’ 동상도 그대로 유지한다.
시는 ‘생명의 다리’ 캠페인 이후, 마포대교가 비관을 희망으로 바꾸는 힐링공간으로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만큼, 자살에 대한 시민 경각심을 높이고 안전을 강화하는 시설을 보완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오는 12월 완공이 목표다.
난간은 안쪽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조성, 매달리면 무게중심이 뒤로 쏠려 올라가거나 넘어가기 쉽지 않도록 한다. 또, 난간 맨 윗부분에는 주판알 형태의 롤러를 촘촘히 설치해 잡으려고 하면 롤러가 돌아가 쉽게 붙잡거나 매달리지 못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난간에는 20cm 간격으로 철제 와이어를 가로로 질러, 난간 사이로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동시에 한강 조망과 경관을 최대한 고려하는 형태로 조성할 계획이다.
형태는 지난해 8월부터 시민 공모를 통해 접수된 다양한 아이디어 가운데 선정된 3건을 종합, 전문가 자문을 거쳐 완성했다. 교량을 대대적으로 바꾸기 보다는 난간 높이를 보강하는 등 현재 구조를 살려 일부 개량하자는 의견이 공통적이다.
시는 한강교량을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는 생명존중의 장소로 바꾸기 위해 시민을 대상으로「우리가 만드는 생명의 다리」아이디어 공모를 실시, 전문가 심사를 거쳐 우수작을 선정했다.
시는 우선 마포대교에 안전시설을 설치한 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다른 교량에도 설치할지에 대한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교량에서 발생하는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세계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안전시설물 설치로 인한 자살률감소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리’ 중 하나이자 ‘자살 다리’라는 오명을 가진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에도 ’20년 완공을 목표로 철망 설치공사가 추진 중이다.
김준기 시 안전총괄본부장은 “교량에 안전시설물을 설치해 자살률이 감소하는 사례들이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는 만큼, 이번에 마포대교 안전시설물 설치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보다 효과적인 안전시설 보완을 고민하는 등 시의 최우선 과제인 시민안전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