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국내 유일 고려시대 관세음경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한국디지털뉴스 정승로 기자 = 서울시는 국내 유일한 고려시대 관세음경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조선시대 최초의 구리활자인 계미자로 인출된 풍수지리서 지리전서동림조담 전존본 中 가장 많은 권수로 지정 신청한 삼성미술관 리움소장본 송조표전총류 이화여대박물관 소장, <백자철화 매죽문 시명호>, <백자청화 매조죽문 호> 2점의 고급백자를 국가문화재로 신청한다고 1일 밝혔다.
<국내 유일한 고려시대 관세음경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은 우리나라 관음신앙의 근본 경전으로 본래 연화경 28품 중 25품 관세음보살보문품을 독립된 경전으로 만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많이 간행했다.
신청본은 전체 4장의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말제(卷末題) 맨 끝에 ‘지원12년을해2월일 산인선린사’라는 연대 및 간행 기록이 포함 되어 있어 고려 충렬왕 1년(1275년)에 산인선인이란 스님이 간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지정 신청본은 분량이 4장에 불과하나, 고려시대 간행본으로는 현재 국내 유일본으로 파악되고 있어 국가문화재로 지정 관리할 만하다고 판단된다.
<조선 최초 활자 계미자로 인출된 풍수지리서지리전서동림조담> 이번 신청본 지리전서동림조담은 중국 오대(五代, 907-979)에 살았던 범월봉(范越鳳)이 편찬한 풍수지리서이다. 이 책은 모두 2권 1책이며, 내용은 상권 10편, 하권 14편으로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과거시험 음양과의 초시와 복시 그리고 취재의 과목에 포함되어 있는데 모두 임문고강(臨文考講)으로 시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본이 극히 드물어 국립중앙도서관에 훈련도감 목활자본, 원광대에 사본, 성암고서박물관 소장본이 확인될 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