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만세를 통해 대한제국이 대한민국으로 전환 계승되는 100년 만세행진과 세대 연령·종교 지역 국가 인종을 넘는 시민 참여·화합의 100년 대합창 ‘본행사
서울은 3·1운동의 시작점이자 중심지다. 인사동에서 시작된 만세는 탑골공원을 거쳐 종각에 이르렀고, 덕수궁, 서울역, 창덕궁 앞을 거치면서 서울 전역에서 울려 퍼졌다. 이 함성은 곧 8도로 퍼졌고, 해외 여러나라로 확산됐다. 그날, 서울은 ”만세도시“였다. 서울의 골목과 길들은 ‘만세길’이었다, 서울 사람들은 거대한 ‘만세인’들이다. 3.1운동으로부터 100년이 지난 2019년,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서 다시 한 번 그날의 감격이 재현되고, 나라를 빼앗겼던 뼈아픈 역사와 3.1운동의 정신을 기억할 수 있는 기념공간들이 시민들을 맞는다. 3.1운동의 발상지인 삼일대로 일대(안국역~종로2가)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쉬며 3.1운동의 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역사적 상징가로로 다시 태어난다. 독립선언문이 보관됐던 ‘독립선언문 배부 터’(현 수운회관 앞), 3.1운동 이후 민족운동 집회장소였던 ‘천도교 중앙대교당’ 등 5개 거점별로 쉼터 같은 시민공간 조성이 완료됐다. 앞서 작년 9월 독립운동 테마역사로 변신을 완료한 지하철 안국역에는 기미독립선언서가 새겨진 ‘100년 계단’(지하 2-3층)이 새롭게 조성돼 3월 시민 발길을 기다린다. 3.1절 당일에는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본행사가 열린다. 100년 전 민족이 하나되어 대한독립을 외쳤던 그 날의 함성을 다시 한 번 재현하며 세종대로 일대를 행진하고, 새로운 100년을 향한 시민 대합창이 준비되어 있다. 잊혔거나 가려졌던 근현대 역사를 재조명하는 전시, 공연, 역사강좌 등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마련된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을 통해 국권 상실로 인한 참상과 인권문제를 고민해보는 특별전과 3.1운동 정신을 세계에 알린 선교사 프랭크 스코필드 등 캐나다인 5명의 독립운동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가 각각 열린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의 기념 콘서트, 서울시합창단과 시민이 함께 꾸미는 ‘유관순 오페라 칸타타’도 주목해보자. 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경축과 화합의 정서를 시민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추진해온 기념공간 조성사업, 시민참여 프로그램, 기념행사 등을 종합적으로 담은 2019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을 발표했다.
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지난 2016년부터 시민 기념공간 조성, 독립유공자 예우강화, 독립운동 역사 재조명 같은 지자체 차원의 자체적인 기념사업을 발굴하고, 3.1운동 100주년의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해왔다.
시는 ‘국립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 건립을 위해 서대문구 의회부지와 국유지 교환을 완료하고, 안국역 독립운동 테마역사와 삼일대로 시민 기념공간 조성은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3월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진행해왔다.
한국광복군 무후선열 17위가 안장된 강북구 ‘광복군 합동묘소’ 정비를 지원하고, 독립유공자 후손의 시립대 등록금 면제 대상도 확대(2대손-5대손)해 독립운동 유공자들의 예우를 강화했다.
서울시민대학 ‘대한민국 100년 뿌리알기’ 기획강좌, 임시정부 연구 학술 심포지엄, 여의도공원 C-47수송기를 활용한 독립운동 전시 교육 프로그램 등 독립운동 역사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시민 공감대 확산을 위해 시민위원을 구성, 역사강연, 독립문학 낭독회, 독립유적 현장답사 등을 진행하고 대시민 캠페인, SNS홍보 등도 펼쳤다.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은 지난 3년 간 추진해온 기념사업을 완성하는 동시에 다가올 미래 100년을 새롭게 시작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핵심 키워드는 지난 100년에 대한 공감(3.1운동 100주년 시민 공감대 확산) 기억(기념공간 조성 활용) 성찰(우리역사 바로알기)이다. 총 30개 세부사업으로 진행된다.
전 세계에 알렸던 앨버트 테일러의 한국 거주지 ‘딜쿠샤’는 2020년 완료를 목표로 현재 복원공사를 추진 중이다. 오는 3.1절에 시민공개행사(오후 2-4시 20분) 개최와 함께 향후 앨버트 테일러를 비롯해 서양인 독립유공자들의 업적을 조명하는 생활 속 문화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독립유적지 인근 버스정류소 명칭 병기(2월 완료) 일상공간에서도 독립운동의 역사를 접할 수 있도록 백범 김구 선생의 경교장, 김상옥 의사 의거터 등 독립운동 유적지 인근 버스정류장 12개소에 독립운동가 명칭 병기를 진행한다.
교육 학술 심포지엄 - 서울시민대학에서는 ‘대한민국 100년 뿌리알기’ 기획강좌를 3월 개강,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근현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다.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4월에는 임시정부 활동의 업적과 의의를 고찰하는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박원순 시장은 “100년 전 겨레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알린 동시에, 대한민국의 시작이 된 3.1운동은 우리민족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역사”라며 “3.1운동 100주년 시 기념사업은 지자체 최초로 발굴해 추진해온 지난 3년 간의 사업을 완성하는 동시에 미래 100년을 새롭게 시작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시민들이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100주년의 오늘을 공감하고 지난 100년의 독립역사를 기억하고 성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