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실증기회 확대하고, 민간시설까지 공간 다양화…‘돌봄로봇’으로 품목지정 공모 최초 도입
한국디지털뉴스 김형종 기자=서울시가 미래 유망산업을 키우고, 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로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 R&D 지원사업’의 결실이 AI‧로봇‧바이오의료‧핀테크블록체인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시가 최근 5년간 창업‧벤처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 참여한 총 1,316개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 4,585억원의 매출 증대와 3,297명의 일자리 창출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기업의 매출을 올랐고, 일자리를 늘었고, 시장은 확대됐다. 시는 5년간 ‘17년 210개-18년 209-19년 264개-20년 351개-21년 282개 등 총 1,316개의 기술사업화(R&D) 과제를 지원했다. 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은 올 한해, 총 38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혁신기술 개발부터 투자유치, 실증까지 종합 지원한다. 올해부터 ‘돌봄 로봇’ 분야는 품목지정 공모방식을 도입해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에도 집중한다. 올해 서울형 R&D는 서울 4대 핵심산업(인공지능,로봇,바이오‧의료, 핀테크‧블록체인) 분야 기술사업화 집중지원(150억원) 민간 투자자, 대‧중견기업 연계해 민간투자유치 및 스타트업·대중견기업 공동사업화 활성화 공공시설 뿐만 아니라 대학교, 코엑스 등 민간분야까지 기술실증 공간 확대를 골자로 운영된다. 지원 절차도 대폭 간소화해 기업의 부담을 줄인다.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1/4로 줄이고 (8종→2종), 인쇄물 형태로 제출했던 서류도 가능한 부분은 전산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기존에 신청기업은 제출서류를 일괄 제출해야 했지만. 올부터는 신청시 와 선정평가 이후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출할 수 있다. 시 R&D 지원사업 전 과정(공모 접수 평가 협약 성과 기술료관리 등)의 정보를 관리, 축적하기 위해 2021년부터 구축해 운영 중인 종합관리시스템(PMS)도 개선했다. 기존에 제출서류를 작성해서 업로드하는 대신에 온라인에 직접 입력하면 된다. 혁신기술이 많은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업의 참여도 높인다. 기술사업화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용어, 운영사업 등 중앙부처와의 연계성을 높이고, 참여 기업의 부담금도 낮췄다. 참여기업의 부담이 최소화된다. 기존에 참여기업은 시지원금의 10%를 현금 출자하여야 했으나 올부터는 민간부담금(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0%만 현금 출자하면 된다. 지원사업 관련 용어도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준용하여 변경된다. 그동안 참여기업은 서울형 R&D 지원사업과 국가연구개발사업간 상이한 용어로 행정적 혼선을 겪어왔으나 올해부터는 보다 편리하게 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