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바우처택시 개선 대체 교통수단 확충 효과, 장애인콜택시(특장차) 효율향상전망-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편리한 이동 경험 확대
한국디지털뉴스 김형종 기자=서울시는 장애인콜택시(중증보행장애인), 장애인복지콜(시각ž신장장애인) 의대체교통수단인 장애인 바우처택시의 이용편의 개선을 오는 25일부터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장애인 바우처택시=장애인콜택시 또는 장애인복지콜에 등록한 비휠체어장애인중 만14세 이상의 서울시민이 중형택시를 호출하여 탑승시 요금 75%지원 시는 그동안 장애인 바우처택시를 활용하여 장애인콜택시와장애인복지콜의 공급만으로 부족한 장애인 이동권을 보완하여 왔으나, 탑승장애인과 택시 사업자의 요구를 수렴하여 불편한 점을 개선하는방안을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장애인의 이동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장애인콜택시, 장애인복지콜 증차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장애인 바우처택시 등 대체교통수단을확충하고 이용체계를 개선하여 장애인에게 이동수단을 선택할수있는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비휠체어 장애인의 주요한 대체교통수단인 바우처택시의운행규모를 현재 실 운행대수 기준 1,600대에서 온다택시 7,000대가추가 참여하여 총 8,600대로 대폭 확대한다. 기존 바우처 콜택시 회사(나비콜, 국민캡) 이외에 플랫폼사(온다택시)까지 참여를 확대하여 장애인 바우처택시의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 장애인콜택시에 비해 높았던 장애인 바우처택시의 이용요금을장애인콜택시와 동일하게 낮추고 이용횟수, 이용대상도 확대하여장애인콜택시와 동일하게 개선한다. 장애인 바우처택시 이용을 위해 기존에는 회사별로 나비콜, 국민캡에별도 전화 호출하여 이용하여야 하였으나, 장애인콜택시 가입자는서울시설공단 이동지원센터로 호출경로를 일원화하여 이동수단을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장애인 바우처택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택시운수종사자 인센티브를대폭 인상하는 등 현실화 하여 합리적으로 개선한다.기존 인센티브인 봉사수당(500원 - 2,000원), 단거리 보상수당(500원-최대 1,000원)을 인상하고, 취소수수료(승객 및 호출사 유책 취소건당2,000원)를 도입하기로 했다. 장애인 바우처택시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운수종사자대상의장애인 인식교육을 포함한 친절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불친절이반복되는 부적격 운수종사자를 걸러 퇴출하는 등 관리를 통해 장애인콜택시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이번 사업 개선을 통해 바우처택시·장애인콜택시 모두이용환경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바우처택시이용이크게 편해진 만큼, 비휠체어 장애인의 수요를 대기시간이 짧은바우처택시로 유도하고, 특장차량인 ‘장애인콜택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집중하여 전체적인 대기시간 감소 및 장애인 이동 효율을 향상할 계획이다. 윤종장 시 도시교통실장은 “앞으로도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할수있는경험을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인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장애인이동권향상뿐만 아니라 수요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택시업계도 시장확대등추가적인 기대효과가 예상되는 만큼, 상생·동행 정책의 모범사례로거듭날 수 있도록 사업 시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