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권 발간-서울역사편찬원,<서울역사답사기> 제8권‘독립운동의현장’ 발간-시민과역사학자가함께한2023년답사결과물…의병부터광복까지독립운동현장총망라-여성, 외국인들다양한독립운동가활동소개, 서울책방및공공도서관열람가능 한국디지털뉴스 김형종 기자ㅣ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이 <서울역사답사기> 제8권 ‘독립운동의 현장’을 발간했다. 2023년 역사학자와 시민이 직접 답사했던 서울독립운동 현장답사의 결과를 담았다. 표석이나 기념 공간이 있는 곳뿐만 아니라 아무런 흔적도 남아있는 장소들도 다뤄 서울 속 독립운동 현장을 찾고자 하는 시민들의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서울역사편찬원은그간<서울항일독립운동사>, <서울독립운동의역사현장> 등을발간 하며서울지역에남아있는독립운동의현장을조명하고서울의독립운동사를알리기 위해노력해왔다.
2023년 답사는 서울 속 독립운동의 현장을 의병 대한민국 임시정부 여성과 외국인 독립운동가 의열투쟁 광복 등 총 7개의 주제로 답사했다. 이 책은 답사 현장을 항일의병운동부터 광복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서대로 구성했다. 책을 읽는 독자들도 책장을 넘기며 항일독립운동의 시간을 함께 걸을 수 있도록 기획한다. 첫 장에서는 1907년 ‘정미의병’의 길을 따라가며 당시 군인들의 항전 현장을 소개한다.
1907년,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이 행정 및 사법권을 일본에 빼앗기며 8월에는 대한제국군대마저해산당했다. 당시군인들이이조치를받아들이지않고의병들과 합류해국권회복을위한무장투장을전개하였는데이를‘정미의병’이라고한다.
오늘날남대문앞대한항공회의소일대와동대문인근의훈련원공원이본래대한제 국시위대가주둔했던곳으로군인들이항전을전개했던곳이다. 이어훈련원공원에서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향하는 ‘왕산로’에서 전국의 의병들을 모아 ‘13도 창의군’을편성하고, 대장을맡았던‘왕산허위’의흔적도되새겨본다. 두 번째 장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흔적을 찾아본다. 임시정부의 서울지역 교통기관으로 이용되었던 ‘동화약방터’, 임시정부 요인들의 국내활동을 지원했던 ‘배재학당 터’독립운동가의 항거정신이 서려있는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등을 살펴본다. 세번째장에서는 여성 독립운동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안국동과 인사동 일대를 주 무대로 독립운동의 한 주체로 뜨겁게 활약했던 여성 독립운동가의 흔적을 찾는다.
2024년 기준 우리나라 독립유공자 1만 8,139명 중 여성독립운동가는 663명에 이른다. 지금의 안국동 사거리를오고간‘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근화여학교’동덕여학교’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3.1운동 만세시위, 광주학생항일운동 동조시위 등을 다룬다. 이어 네 번째 장에서는 정동, 송월동, 행촌동 일대에서 활약했던 외국인독립운동가들의 흔적을, 다섯 번째 장에서는 종로를 중심으로 전개된 1920년대 노동자와 학생들의 독립운동사를 다룬다. 여섯 번째 장에서는 서울 도심 속 ‘의열투쟁’의 현장을 다룬다. 남산의 조선총독부,을지로의 금융지구, 종로경찰서 등이 소개된다. 마지막 장에서는 광복 이후의 독립운동가를 만나본다. 백범 김구 등 용산구 효창동 일대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독립운동가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이번 도서 <독립운동의 현장>은 답사에 참여 하지 못했던 시민들도 책을 읽으며 서울에 남아있는 독립운동의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서울의 다양한 역사를 뜻깊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발간활동을 계속해서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