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오는 11월 1일부터 2014년 5월15일.산불조심기간을 맞아 시 및 구․군 모두 참여하는 산불 예방을 위한‘산불방지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시는 산불이 나기 쉬운 건조한 계절이 다가옴에 따라 산불방지에 총력을 다하기 위해 ‘산불방지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산불조심기간인 11월 1일부터 내년 5월 15일까지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간다.
시는 산불방지 근무태세 및 공조체제 확립을 위해 시 및 자치구․군, 부산시설공단 등 20개소에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할 방침이다. 또한, 입산통제구역 지정(14,606ha, 산림면적 35,786ha의 40%) 및 등산로 폐쇄(179개소 297km, 등산로 495개소 829km의 35%) 산불감시원 744명 배치(산불전문예방진화대 125, 산불감시원 및 공공근로 513 등) 산불진화장비 확보․배치(헬기 8대, 산불무인 감시카메라 27대, 진화급수차 45대 등 27,558점) 등의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산불조심기간 동안 입산통제구역 및 폐쇄된 등산로 등 산불취약지에 산불감시초소와 산불감시원을 집중 배치하여 인화물질 반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소지자에 대해 입산금지 조치, 과태료 부과 등을 강력히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 10월부터 12월말 까지는 산림 내 또는 인접지 산불요인 사전제거사업 대상지를 파악하여 풀베기 등 인화물질 제거사업을 철저히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군부대 사격장과 소각장 주변에 연소물을 제거하는 방화선 설치작업으로 산불실화요인을 사전에 차단하고 시 대책본부 내 경찰․소방서 및 학계 교수 등 화재전문가로 구성된 ‘산불조사전문반’을 운영하여 대형화재, 방화성 산불에 대하여는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하여 가해자를 끝가지 추적 검거할 방침이다.
만약 산불이 발생할 경우 시는 지상․공중의 입체적인 감시활동으로 산불 조기발견체계를 구축해 시 소방 및 산림청 헬기로 산불을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야간산불 발생 등에 대비해 시·구·군의 인력과 소방장비의 동원체제도 강화할 방침이다.
시 푸른산림과 정판수 과장은 “산림이 울창해지고 낙엽 등 가연물질 축적과 봄․겨울철 건조한 기후로 인해 산불발생 건수가 증가 하는 등 대형 산불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최근 걷기열풍 확산으로 입산객이 계속 증가 할 것으로 보여 입산자 실화 등에 따른 산불발생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하고, “산불발생 시 진화인력으로는 어려움이 많으므로 신속한 진화를 위한 진화헬기 투입을 위해서는 산을 찾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와 더불어 산불예방에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