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일 지식의 허브, 도서관 및 독서정책의 컨트롤 타워로서 역할을 할 부산의 대표 도서관 건립을 추진한다.
시는 이를 위해 4,750만원의 예산을 투입‘(가칭)부산도서관’ 건립 타당성 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1월 말 도서관 건립 용역 공고를 내고 2월 말까지 입찰을 통해 최종 용역 업체를 선정한다.
용역에는 29개 공공도서관의 고질적인 문제인 보존서고 확보 부산도서관 성격 및 건립 기본구상 설정 부산대표도서관 예정 부지 및 주변 환경 조사(건립부지 분석 등) 도서관 건립비용 산정 예산확보 계획 다른 시도와 차별화된 건축 외관 및 기능적인 공간구성 부산대표도서관 인력구성 계획, 관리 및 운영 계획 수립 등이 포함된다.
지역 대표 도서관은 도서관법 제22조에 따라 광역 지자체가 설립 또는 지정해야 한다. 그 역할은 시·도 단위의 종합적인 도서관 자료의 수집·정리·보존 및 제공, 지역의 각종 도서관 지원 및 협력사업 수행, 도서관 업무에 관한 조사·연구, 지역의 도서관 자료수집 지원 및 다른 도서관으로부터 이관 받은 도서관 자료의 보존 등으로 지역 도서관 및 독서정책의 컨트롤 타워이다.
전국 16개 광역 시·도 중 11개 시·도가 대표 도서관을 운영 중인데 교육청 소속 도서관을 대표로 지정한 곳은 부산과 대구 등 2곳이고 다른 곳은 광역지자체 소속 직속 기관으로 설치돼 있다. 이는 각 지역 대표 도서관이 정책이 있는 곳에 실행부서가 있어야 원활한 독서 정책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지난 2012년 650여억 원을 들여 문화재 지정 건물인 옛 서울시 청사를 리모델링해 서울도서관을 개관, 내·외국인들이 한번쯤을 꼭 들러야 하는 명소로 만들었다. 또한, 충남, 울산, 경북 등 대표 도서관이 없는 전국의 광역지자체는 이미 도서관 건립을 추진 중이며,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도 작년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대표 도서관 건립(보존서고 겸) 수요조사를 실시하는 등 대표 도서관 건립에 매우 적극적이다.
시는 ‘부산도서관’ 건립 용역 시행 후 건립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며 도서관 건립이 확정되면 독서 정책의 효율적 수립 및 실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부산의 공공도서관은 교육청 운영 14개, 기초지자체 운영 15개 등 총 29개다. 이는 인구 12만 명당 공공도서관 1개꼴로 인구 6만 6000명당 1개인 전국 평균을 배가량 웃도는 수치다. ‘부산도서관’ 건립이 확정되면 전국 최악의 공공도서관 부족 현상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부산의 대표 도서관 건립 예산이 약 5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시민, 전문가 등의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통해 새로운 대표 도서관을 건립이 타당한지를 면밀히 검토해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전하고, “도서관 건립이 확정되면 시 도서관 및 독서 정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