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오는 7-31일까지 지자체 사회복지공무원 및 통리반장, 사회복지관 등 민관협력으로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특별조사를 실시한다.
우선, 보험료체납자, 단전·단수가구, 최근 복지급여 신청 후 탈락가구 등 도움이 필요한 복지사각지대를 집중 조사할 예정이며, 발굴을 통해 긴급지원, 기초생활보장제도, 민간후원 등 공공·민간 지원으로 연계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복지서비스 신청 후 탈락자에 대한 특별관리를 통해 급여결정의 정확성 재검토, 공적지원 외 민간후원 연계방안 마련 등을 추진하고, 이의신청 등 재심절차도 보다 내실화할 계획이다.
최근 들어, 기초수급탈락·가족해체 등으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고립으로 늘어난 빈곤층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민관협력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시,구·군 사회복지공무원, 민간서비스기관이 참여하는 ‘갈매기 희망돌봄 추진단’을 구성한다.
오는 , 7일부터 시 사회복지과, 16개 구·군 사회복지과, 210개 읍면사무소와 동 주민센터, 89개 노인․장애인․지역사회복지관 등에 ‘복지돌봄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또한, 이번 특별조사로 발굴한 대상자 뿐 아니라 사각지대 근본적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단을 운영해 긴급복지 지원, 기초수급 책정, 사례관리 지원 대상자로 세부적으로 분류해 복지서비스 공백이 없는 촘촘한 복지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시는 도로변과 도시철도 등의 전광판과, 지역 케이블TV 등 언론을 통해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 보호 계획을 적극 홍보할 예정이며, 일반주거 밀집지역에는 게시판을 통한 홍보, 산복도로 등 저소득 밀집지역과 중점발굴대상자에게는 개별 홍보물을 배부하고, 터미널·지하역사 등 다중이용시설에는 게시물을 통해 대상자 발굴과 신고를 하도록 차별화된 홍보를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한 분이라도 더 찾아낼 수 있도록 발굴 시스템을 정비하고, 복지담당공무원, 민간복지관계자 및 지역사회에서도 우리 이웃들이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지 않도록 함께 발굴하고 찾아주도록 당부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