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해양 소재산업의 글로벌 허브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 마련
부산시는 17일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기획재정부에 신청한 ‘해양 융복합산업화 사업’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최종적으로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인정받아 2020년까지 888억 원 규모의 사업으로 추진된다.
기획재정부는 본 사업과 관련 연구개발 및 관련기업을 지원하는 기반구축 및 해양산업에 적용하는 융복합소재를 개발하는 R&D 분야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B/C는 0.84, 다기준평가(AHP)는 0.563으로 사업추진의 타당성을 인정했다.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는 ‘TNT 2030(인재 육성과 기술 혁신을 위해 매년 1조원씩, 4년간 4조원을 투자해 2030년대 부산을 한국 최고의 인재·기술 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표방한 시 민선 6기의 첫 연구개발사업 성과가 가시화 된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이번 사업은 서병수 시장이 국회의원 시절부터 부산의 섬유산업 및 해양 관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정부부처 및 관련기관을 수차례 방문하는 등 사전 기술성평가 및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자리 창출을 시정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는 시는 지역 주력산업의 구조 고도화 및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국책 연구개발사업의 유치를 위해 다방면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번 ‘해양 융복합소재 산업화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는 민선 6기 지역산업 발전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은 2011년부터 시를 중심으로 부산테크노파크, 조선해양분야의 중소조선연구원, 융복합소재분야의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관련기업 단체인 부울경산업용섬유산업협회를 비롯한 지역대학 및 다수의 관련기업이 참여해 기획됐다.
지난해 7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사전심사를 시작으로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술성평가, 지역발전위원회의 입지적정성 검토 등을 거쳐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의 R&D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이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1년간의 기술적,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에 대한 심사를 통해 국고지원 및 사업의 시급성 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주관하는 이번 사업은 시를 주축으로 전남과 제주가 참여하는 광역연계형 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된다. 연구개발 지원시설 건립과 ‘그린십 구현 융복합소재 개발’ ‘하이테크 소형특수선박 융복합 소재개발’ ‘차세대 해양 구조물 융복합 소재개발’ 등 3대 분야 4개 핵심기술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부산에는 해양 융복합소재 연구개발 및 관련기업 지원을 총괄하게 될 ‘해양융복합소재센터’가 건립되며, IMO(국제해사기구)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각종 인증장비 및 성능평가 장비 등을 구축해 부산이 해양 소재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해양융복합소재 산업화 사업’을 통해 2027년 해양 융복합소재 글로벌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3만여 명의 고용창출과 3조 6천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지역적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용섬유 및 조선해양 기자재 분야의 기술력 향상 및 우수 인재육성과 고급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향후 시는 해양용 핵심소재가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지역산업을 육성하고, 해양 소재산업의 글로벌 허브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해양 융복합소재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융복합소재는 수분, 고염분, 심해압력 등 극한의 해양환경에 견딜 수 있으며, 해양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新)섬유 및 소재를 말하는 것으로 초경량․고내구성의 특성으로 인해 선박 구조재 및 추진체, 심해구조물, 해양레저기구, 로프, 어망, 어구 등에 주로 사용된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신규사업에 대해 정부가 사전에 타당성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제도로, 사업추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