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 = 23일 3년간 추석 명절 연휴 귀성객 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산출 추석 연휴 특별교통대책 수립을 위한 것으로, 추석 연휴 동안의 ‘이동 여부, 교통수단, 목적지(귀경지) 및 이용도로, 귀성일과 귀가일’등에 대한 추정자료이다.
통계자료 결과, 부산거주세대의 약 28%가 추석 연휴 동안 이동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에 따라 이동인구는 약 40만 세대 98만여 명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해 1,056천여 명 대비 0.7% 감소한 수치다.
이동교통수단은 자가용이 86.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철도 6.3% 버스 5.9% 항공 0.5%의 순이다. 이동지역은 경남 51.5%, 경북 17.7%에 이어 울산․대구 등 광역시 13%, 서울·경기 6.2%, 전남·북 6.9%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연휴기간 동안 자가용을 이용한 이동객의 86.2%가 남해·경부·남해지선·신대구 고속도로 등 7개 주요 도로에 집중될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결과는 남해지선고속 21.8% 남해고속도로 18.4% 경부고속도로 19.4% 신대구 부산고속도로 15.3% 부산·울산간 고속도로 2.7% 거가대로 3.4%로 나타났다. 국도 2, 7, 14, 35호선를 이용하겠다고 답한 시민도 9.2%에 달했다.
부산에서 출발하는 귀성객은 추석 전날인 26일이 50.76%로 제일 많았고 27일(추석) 35%, 26일 이전 9.4%로 조사됐다. 부산으로 돌아오는 귀가객은 27일 추석 당일날(44.1%), 9월 28일 추석 다음날(40%)의 순이다. 시간대별 귀성객은 추석 전날인 9월 26일 오전 8-10시가 가장 많았다. 부산으로 돌아오는 귀가객은 추석 당일인 27일 오후 2-4시가 제일 많은 순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26-29일까지(4일간)를 특별수송기간으로 지정하고 귀성객 및 성묘객 특별수송대책 마련, 교통대책 상황실 운영 등 추석 연휴 교통관리에 온 힘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