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는 10일 우리나라 중부지방을 가로 질러 서해로 흐르는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 결과를 포스터로 제작하여 배부할 계획이다.
금강은 한강, 낙동강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세번째로 큰 강으로써 우리나라의 중앙부 서쪽에 위치하여 동으로는 낙동강유역, 북으로는 한강유역, 북서로는 안성천유역과 삽교천유역, 남으로는 만경강유역과 섬진강유역에 접해 있는 총면적 394.8㎢, 길이 1천리에 이르는 강이며, 수많은 지천과 소하천이 합쳐 총 유역면적이 남한의 약 1/10 에 해당하는 강이다.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는 용담댐과 대청댐을 기준으로 용담댐 상류, 대청댐 상류, 대청댐 하류 지역으로 구분하여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총 30개 지점에서 총 5회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결과 금강에서는 총 64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우리나라 고유종으로는 각시붕어, 칼납자루, 참갈겨니 등 총 28 종이 출현되었으며, 지역별 우점종으로는 용담댐 상류에 참갈겨니, 대청댐 상류에는 피라미, 대청댐 하류에는 누치가 우점하고 있었고, 천연기념물로는 미호종개와 어름치가 서식하고 있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으로는 감돌고기 등 5종이 조사되었고, 기타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뱀장어, 잉어, 붕어, 쏘가리, 모래무지와 눈동자개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내수면생태연구소에서는 (우리나라의 민물고기 Ⅰ(아름다운 물고기 납자루아과)(우리나라의 민물고기 (임진강의 어류) 및「우리나라의 민물고기 Ⅲ(메기목 어류)를 제작·배부 하고 앞으로 우리나라 토종민물고기의 생태와 관련된 포스터를 지속적으로 제작 배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