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8일 최근 행정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다양한 시민욕구의 증가로 인해 새로운 행정수요가 발생하고 또한 다수부서와 관련된 복합적인 업무의 추진부서가 불명확하여 추진에 어려움이 겪고있는 업무에 대하여 “정책조정 기능 혁신” 방안을 마련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책 조정대상 업무는 △복합적인 프로젝트 업무로서 다수 실·국에 관련되어 주관부서가 불명확한 사업 △새로 발생한 업무로서 직제규칙 등에 명시되지 않아 주관부서 지정이 필요한 사항 △기타 업무 한계가 명확하지 않아 다수 실·국간 다툼이 있는 업무 등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업무를 대상으로 한다.
업무조정 절차는 조정대상 업무를 선정하여 관련부서 의견수렴과 검토를 거쳐 기획관리실장 주재의 사전 조정회의을 거쳐, 시정조정위원회에 상정·해결하고, 의결사항을 실·국에 통보하여 정책을 집행한후 확인평가와 성과관리에 반영시켜 나가는 체제로 운영된다.
세부추진계획으로, 조정규정인 시정조정위원회 조례 및 조례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정책조정 기능을 보강하고, 정책조정 매뉴얼 작성 등 정책조정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에따라 과제발굴은 부서신청과 업무관리시스템(BPM)을 활용하고, 해결방안 검토는 투자개발담당관실과 기획관실에서 검토보고하고, 사전조정회의는 시정조정위원회 상정 이전에 조율하며, 시정조정위원회 상정 및 조정 의결사항 통보는 기획관실에서, 실행표 구성 및 계획공정표 작성은 주관부서에서, 확인평가 및 성과관리 반영은 혁신평가담당관실에 담당하게된다.
정책조정은 정책조정 사업을 총괄 수행하는 주관부서와 주관부서가 아닌 사업추진 관련 부서인 협력부서를 지정하여 주관부서 및 협력부서의 조직의 기능에 맞게 업무분장을 실시한다.
정책집행을 위한 실·국별 실행팀 구성은 주관(협조)부서 국장 또는 과장중심으로 T/F팀을 구성하여 업무분장과 함께 업무추진 계획 공정표를 작성하여 업무를 추진하게된다.
복합업무 협력도 평가는 주관부서의 업무추진 실태와 협력부서의 기여정도(협력도)를 객관적 지표에 의거 평가하는 것으로 주관부서는 주요업무 자체평가 방법에 의거 평가하고, 협력부서는 주관부서에서 복합업무 협력도를 평가지표에 의거 평가하여 확인·조정을 거쳐 혁신평가담당관실에서 복합업무 전체(달성도,협력도)를 평가하여 인센티브 부여 등 성과관리하게된다.
부산시는 정책조정 기능 강화를 위해서 시 홈페이지 배너 등을 통하여 의견수렴과 우수사례 등을 전파하여 마인드를 제고하고 반기별 정책조정사업 추진상황보고회를 개최하여 추진방법 등을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