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응급처치 중요성과 시민관심도 증가를 반영하여 교육기관 확대
한국디지털뉴스 정창섭 기자 = 부산시는 9일 5월부터 시민생명보호를 위한 시민맞춤형 교육 ‘2016년 구조 및 응급처리 교육’을 부산대학교병원, 대한손상예방협회, 동의과학대학교BLS교육원, 부산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4개소에 위탁해 교육을 시행한다.
이번 교육은 지난 4월 ‘2016년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위탁기관 공모’를 실시해 4개소의 응급처치교육기관을 선정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부산지역의 급성심장정지환자 발생 현황은 2011년 37.2명, 2012년 39.8명, 2013년 40.2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에 가장 중요한 수단인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율은 부산의 경우 2012년 4.4%에서 2013년 8.9%로 크게 개선되었으나,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급성심정지 환자 생존율을 위해서는 최초발견자의 심폐소생술 등 신속한 응급처치가 가장 중요하다. 이처럼 응급처치시행의 중요도와 시민관심도에 증가에 따라 시에서는 교육기관 및 교육인원, 교육예산을 확대하여 2015년도 3개 기관에서 2016년 부산대학교병원 등 4개 기관을 응급처치 교육기관으로 확대 지정하여 교육대상자별 맞춤형 응급처치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여 시민과 동료, 가족의 생명을 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생명존중 문화사업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교육인원과 예산 등을 꾸준히 늘려나갈 방침이며, 다양한 직업군 및 계층을 대상으로 한 대상자 맞춤형 교육, 전문화되고 표준화된 교육제공으로 부산시민의 구조 및 응급처치에 대한 인식제고와 심폐소생술 시행률 향상으로 시민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교육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수준 향상 및 유지에도 역점을 두겠다”고 전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3개 교육기관과 4개 시범보건소에서 법정의무 대상자 및 일반인, 시 및 구·군 보건소 직원 등 18,664명을 대상으로 응급처치교육을 시행하고, 올해 교육예상인원은 법정의무대상자, 자동제세동기 관리책임자, 일반시민, 공무원 등 30,000여 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행한다. 또한, 2015년도에 시행한 ‘시·보건소 응급처치 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 수료자 120명을 재교육하여 응급처치교육 강사를 확보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