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목 :
보건환경연구원,부산지역 7개 해수욕장에 대한 수질조사 결과 발표
한국디지털뉴스 이정근 기자 =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설승수)은 26일 여름철을 맞아 부산지역 7개 해수욕장에 대해 개장 전 수질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해수욕장이 수질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중 실시된 이번 수질검사는 해수욕장 개장 전 수질 상태를 조사 평가한 것으로,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장염발생과 직접 관련이 있는 장구균과 대장균 등 총 10개 항목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결과 내달 1일 조기 개장하는 우리나라 최대 해수욕장인 해운대는 대장균과 장구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가장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송도와 송정도 기준치의 5% 미만으로 아주 양호한 수질을 보였으나 7월 개장을 앞둔 일부 해수욕장에서 채수 전 강우의 영향으로 오염도가 매우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해수욕장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은 강우로 인한 해수욕장 주변 하수관거 월류수 및 인근 하천의 오탁수 유입 등에 의한 것이지만, 현재 관리지침에는 강우 이후 해수욕장 이용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용객들의 건강보호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이에 시 보건환경연구원는 지난해 부산지역 대표 해수욕장인 해운대와 광안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강우 전·후 시간대별 장염지표세균(대장균, 장구균) 등의 수질변화와 수질회복 양상을 분석했다.
두 해수욕장 모두 2.5-3.0 mm 이하 강우에는 해수욕장 수질기준을 만족했으나, 강우강도가 크고 강우 지속시간이 긴 41.5-45.5 mm 강우에서는 개체수가 5시간 안에 최대치를 보이다가 8시간 후 부터는 감소해 해운대해수욕장은 10시간 이내, 광안리해수욕장은 14시간이 지나면 해수욕에 적합한 수질로 회복됐고 강우 전 수질로 완전히 회복하기까지는 약 2.7일이 소요됐다.
지난해 7월 태풍 ‘찬홈’의 간접 영향으로 54.5 mm의 강우가 있었던 날에는 해수욕에 적합한 수질이 되기까지 해운대는 1.9일, 광안리는 2.7일이 소요됐으며, 강우 전 수질로 완전히 복귀하는 데는 2.9-3.7일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태풍이 지난 후 날씨가 좋아지더라도 2-3일 정도 해수욕장의 이용을 제한할 것을 권고했다.
강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변 내에 위치한 하수관거 월류수 방류구인 토구의 이전, 연안오염총량관리를 통한 하천의 오염부하량 저감, 도로 등 육상오염원의 유입을 막기 위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해수욕장 개장 중 주기적인 수질조사를 실시하여 보건환경정보공개시스템(http://heis.busan.go.kr)과 각 구·군 등 해수욕장 관리청에 결과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해수욕장 수질관리 및 이용제한을 위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시민과 관광객들이 공중보건학적으로 안전한 해수욕을 즐길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